한국, 트립닷컴 글로벌 호텔 예약 상위 5위권 진입
K-콘텐츠 영향으로 외국인의 한국 여행 수요 증가
한국 여행 글로벌 예약률, 64.6% 증가해 중요성 ↑
분 시안 차이 트립닷컴 그룹 부사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김명상 기자] “글로벌 여행 트렌드를 주도하는 한국 시장에서 인지도와 영향력을 높이고, 해외에 한국 여행의 매력과 장점을 알리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글로벌 온라인 여행사(OTA) 트립닷컴 그룹의 숙박 부문을 총괄하는 분 시안 차이(사진) 부사장은 최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지난해 트립닷컴 호텔 예약 데이터 기준, 한국은 글로벌 상위 5위권 시장”이라며 “특히 강력한 K콘텐츠의 영향력으로 외국인의 한국에 대한 관심이 이전보다 더 높아지면서 시장 규모와 가치가 더 커졌다”고 평가했다.
분 시안 차이 트립닷컴 그룹 부사장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트립닷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외 글로벌 여행자의 한국 여행 예약률은 전년 대비 64.6% 증가했다. 전 세계 여행자들이 한국을 주요 여행지로 인식하고 있음을 방증하는 사례다.
차이 부사장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한국 시장 내 트립닷컴의 입지를 강화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소개했다. 실제로 트립닷컴의 국내 항공권 판매 실적은 2022년 13위에서 지난해 12월 기준 4위까지 상승했다. 지난해 1~9월 기준 국내 여행 앱 다운로드 점유율은 13%까지 올라가 네이버맵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서비스 품질에 대한 기대가 높고, 트렌드에 민감한 한국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면 상당히 빠른 속도의 성장세라고 차이 부사장은 설명했다.
트립닷컴은 해외 시장에서 한국 여행을 알리는 데에도 일조하고 있다. ‘헬로 코리아’(Hello Korea) 캠페인이 대표적이다. 트립닷컴은 지난달부터 자사 온라인 플랫폼에서 한국 여행 수요가 높은 시장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한국 시장의 환경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높은 기대감을 드러냈다. 특히 한국 정부가 3분기 중 도입을 검토하는 중국인 단체 관광객 대상 무비자 입국 허용은 여행 업계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기대했다.
차이 부사장은 “한국의 무비자 정책 시행 이후 중국인 관광객들의 한국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 여행상품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면서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춘 트립닷컴이 한국 여행의 장점과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가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