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중력 거슬러 공중서 춤추는…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물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7국 공연 ‘푸에르자 부르타’ 내한

연출가 디키 제임스 인터뷰

길이 36m, 너비 24m, 높이 14.73m의 공연장 ‘매직 박스’엔 별도의 객석이 없다. 조명이 꺼지면 내부는 완전한 암흑. 날카로운 조명이 어둠을 찢으며 현란하게 춤추고 일렉트로닉 댄스 뮤직(EDM)의 비트가 온몸을 타고 울리기 시작하면, 관객은 각자 휴대전화를 꺼내 들고 영상을 찍으면서 함께 뛰고 환호한다. 14명의 무용수는 나비 떼 수천 마리 속이나 물이 쏟아지는 폭포 아래서 춤추거나, 혹은 공중에서 중력을 거슬러 질주하다 수시로 관객 속으로 뛰어든다. 공연장 안은 열광의 도가니다.

서울 성수문화예술마당 FB씨어터에서 ‘푸에르자 부르타 : 아벤’<키워드> 공연이 진행되는 70분은 마치 한바탕 즐겁고 소란스러운 꿈속을 헤매는 것 같다.

/크레센트 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공연장 백스테이지에서 최근 만난 ‘푸에르자 부르타’의 창조자이자 연출가 디키 제임스(60)는 “세상은 경제와 전쟁, 정치를 이야기하고, 일을 더 많이 해서 생산성을 높이는 대신 삶을 축복하며 축제를 즐기는 걸 시간 낭비라고 말한다. ‘푸에르자 부르타’는 그런 말들의 정반대 지점에 있는 공연”이라고 했다. “우리는 관객들이 생각하는 속도보다 더 빠르게 몸으로 먼저 느낄 수 있게 하고 싶어요. 모두가 인생의 아름다움을 축복하며 최대치의 기쁨을 느낄 수 있게 하는 것,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쇼가 되는 것이 이 공연의 목표입니다.”

'푸에르자 부르타 : 아벤' 연출가 디키 제임스. /크레센트 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출신인 제임스는 18세에 연극 공부를 시작했지만, 여섯 달 만에 국립 연극학교를 그만둔 뒤 극단 활동에 뛰어들었다. 독립 극단 ‘검은 조직(LON)’ 동료들과 함께 1993년 ‘푸에르자 부르타’의 전신과 같은 공연 ‘델라구아다(De La Guarda)’를 만들어 2006년까지 공연했고, 2002년엔 공연명이자 회사 이름인 ‘푸에르자 부르타’를 세웠다.

그는 “아르헨티나에서 연극은 대중들에게 문턱이 너무 높았다. 처음엔 연극을 한 번도 본 적 없는 사람도 참여해 함께 즐길 수 있도록 문턱을 낮춘 우리만의 고유한 공연 언어를 만들어내는 것이 목표였다”고 했다.

“중남미의 카니발 문화를 접목해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물고, 관객이 모두 선 채로 공연에 참여하는 새로운 형식을 개발했습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시작한 공연에 해외에서 관객이 찾아오기 시작하는 걸 보며 깨달았죠. 아, 우리가 ‘문화를 넘어선 언어’를 만들어냈구나!”

/크레센트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남미를 넘어 해외 투어 공연이 시작됐다. 공연 제작사 측은 “세계 37국, 68개 도시에서 680만명 이상의 관객이 이 공연을 관람했으며, 한국 관객 수만 30만명이 넘는다”고 말한다. 미국 뉴욕에선 9년간 주 6회 공연을 계속하기도 했다.

공연이 성공하면서 2018년 부에노스아이레스 청소년올림픽 개막식을 만드는 데 참여할 수 있었던 것도 ‘푸에르자 부르타’의 자부심이다. 제임스는 “대중에게 완전 공개된 올림픽 야외 개막식의 원조라 할 수 있다. 공연의 문턱을 낮춰 누구나 볼 수 있도록 공유하고 싶었던 나와 동료들의 꿈이 이뤄졌던 순간”이라고 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 도심의 오벨리스코 광장에서 시작된 이 개막식은 무용수들이 허공을 질주하고 건물을 타고 뛰는 등 ‘푸에르자 부르타’ 스타일이 한껏 녹아 있다.

'푸에르자 부르타 : 아벤' 2025년 공연. /크레센트 엔터테인먼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푸에르자 부르타 : 아벤’ 공연의 클라이맥스는 길이 18m의 거대한 고래가 머리 위로 떠다니는 장면. 고래는 공연장 안이 거대한 아쿠아리움이라도 된 듯 우아하게 공중을 유영한다. 관객들은 뻗은 손이 고래의 지느러미나 배에 닿을 때마다 비명에 가까운 함성을 지른다. 음악에 맞춰 몸을 흔드는 사람들의 열기까지 더해지면 공연장 안은 마치 끓어오르는 듯하다.

제임스는 “나에게 고래는 자연의 아름다움과 힘의 상징인 동시에 멸종 위기의 연약함을 함께 가진 존재”라고 했다. “전 세계를 괴롭혔던 코로나 사태가 지나고 참았던 것들이 분출되는 시기가 왔고, 우리는 새로운 공연에 자연에서 얻은 영감을 불어넣길 원했어요. 고래 뱃속을 보셨나요? 두 명의 배우가 몸을 움직여 고래를 조종하고 있죠. 한 편의 시(詩) 같지 않나요?”

제임스는 “일도 학업도 생산성을 강조하는 시대, 축제에 가고 타인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은 후순위로 미뤄둬야 하는 지금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이 공연이 신선한 체험이 되길 바란다”고도 했다. “일상에 찌들다 보면 닫힌 문 뒤 방 안에서 휴대폰을 들고 친구를 찾는 게 더 편하게 느껴지고, 결국 마음의 병을 얻게 될지도 몰라요. 저는 관객들이 이 공연 속으로 들어와 함께 뛰고 즐기는 것을 보는 게 행복합니다. 세상 밖으로 나와서 다른 사람들과 얼굴을 마주 보며 함께 즐거움을 나누는 것만큼 건강한 일이 있을까요?”

공연은 6월 22일까지, 전석 12만1000원.

☞푸에르자 부르타 : 아벤

무대와 객석의 경계를 허문 독창적 몰입형 공연. 별도의 객석 없이 회당 관객 1000명이 모두 선 채로 공연을 즐기며, 무용수들은 허공을 질주하거나 지구 모형 위를 걷는 등 중력을 거스르는 듯한 다양한 퍼포먼스를 선보이다 관객 속에 뛰어들어 함께 춤춘다. ‘푸에르자 부르타(Fuerza Bruta)’는 스페인어로 ‘잔혹한 힘’, ‘아벤(Aven)’은 ‘모험(Adventure)’과 ‘천국(Heaven)’을 결합한 단어다. 2013년 첫 내한 이후 ‘푸에르자 부르타’의 여섯 번째 한국 공연으로, ‘아벤’은 아시아 초연이다.

[이태훈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