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편의점주들 "약사회 '편의점 상비약' 반대는 '계산기' 두들긴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박진영 기자] [국민 편의와 안전 고려해야…"편의점, 약사회 위원 배제 심의조정 진행" 제안 ]

머니투데이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국민건강 수호 약사 궐기대회'에서 대한약사회 회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이날 궐기대회에서 참석자들은 편의점 판매약 확대 저지, 기업형 면대약국 척결, 화상투약기 도입 저지 등을 촉구했다.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주들이 편의점 의약품 판매 확대에 반발하는 약사회에 '국민 편의와 안전을 우선으로 따져보자'며 강력히 항의했다.

3일 편의점주 협회인 전국편의점가맹점협회는 '약사회, 무엇이 진정 국민이 원하는 것인지 따져보자'라는 성명을 내고 "약사회에서 안전상비의약품의 확대를 반대하는 것은 국민의 편리와 안전보다 섣불리 계산기를 두들긴 결과라고 여겨진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전편협은 안전상비의약품 조정심의위원회 조정위원에 양측 업계의 이익을 대변하는 편의점과 약사회 두 단체의 위원은 배제하고 심의 조정을 진행해 무엇이 진정 국민이 원하는 것인지 공정하게 평가 받을 것을 제안했다.

전편협은 "전국 4만여 브랜드 편의점은 연중무휴 24시간을 운영하며 각종 재난상황 대피소 역할, 밤길·여성·아동 안전지킴이 등 사회 안전망 구축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현재도 공익적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고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는 그 연장 선 상의 하나"라고 말했다.

전편협 측은 안전상비의약품 판매가 편의점 업계의 '밥그릇 챙기기'에서 비롯됐다는 약사회 주장에 강하게 반발했다.

2016년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는 편의점 전체 매출의 약 0.1%에 불과해 수익과는 거리가 멀고 무엇보다도 국민 편의와 안전에 기여하는 사안이라는 것.

전편협 측은 "안전상비의약품은 약국이 마감을 하는 오후 9시부터 다음 날 오전 8시까지의 판매량이 47.6%에 이르며, 법정 휴일이나 자체 휴무일의 구매가 평소보다 66% 이상 많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며 "야간에 영업을 하는 심야약국은 전국에 33여 곳에 불과하며 그 마저도 국민의 세금으로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휴무일 영업이나 심야 영업은 기피하면서도 국민의 건강 편리를 위한 편의점의 안전상비의약품 판매를 반대하는 것은 이중적 잣대라는 비판이다.

전편협 측은 "이러한 행태에 대다수의 국민들은 실망을 넘어선 분노를 느끼고 있다"며 "최근 편의점 업계를 비롯해 영세 자영업 모두가 경제 불황과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음을 충분히 인지함에도 탐욕을 운운하며 4만여 편의점 종사자들을 우롱했다"고 비판했다.

또 전 세계 의약품 안전의 표준인 미국 FDA(식품의약국)가 일반 슈퍼 등에서 판매를 허용한 안전상비의약품은 3만여 종에 달하며, 일본도 2000여종으로 온라인 구매도 흔한 일상이 됐다고 지적했다.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안전상비의약품 지정심의위원회는 오는 8일 '24시간 운영 편의점 안전상비약 추가' 안건을 논의할 예정이다. 최종적으로 편의점 판매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약사회는 편의점 상비약 판매 확대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박진영 기자 jyp@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