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소상공인·자영업자 살린다".. 경기도, 2022년까지 4116억원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창업·영업 단계 나눠 지원 지역화폐로 자금 순환 도모


【 의정부=강근주 기자】 경기도가 올해부터 2022년까지 4116억원을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활성화에 투입한다. 이번 대책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지역상권 내에 2조 5268억원의 자금이 유통되는 경제효과를 낳을 것으로 예측된다.

박신환 경기도 경제노동실장은 16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경기도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박신환 실장은 "이번 대책은 정부가 8월22일 발표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대책에 적극 호응하기 위한 도 차원의 대책"이라며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추구하는 공정경기 구현과 골목상권 활성화 5대 공약을 포함해 현장 의견을 반영했다"고 말했다.

지원 대책은 소상공인·자영업자 생애주기를 고려해 △창업단계 '소상공인의 시장 진입 합리화' △영업단계 '소득 증대 및 비용 절감' △폐업단계 '충격 완화 및 안전망 확충' △재기단계 '새로운 희망 사다리, 재도전 지원' 등을 중점 과제로 선정, 지원한다.

경기도는 우선 '경기상권영향분석시스템'을 10월 중 개설해 빅데이터를 활용한 상가업소DB, 유동인구, 카드매출정보 등 상권 분석 정보를 예비창업자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골목상생협의체'를 조직해 상권 스스로 과당경쟁을 조율하는 모델을 구축해 10월부터 성남·안산시을 대상으로 시범사업에 나설 예정이다.

특히 성장단계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에게는 실질적 소득 증대를 도모하기 위해 지역화폐를 내년부터 2022년까지 1조 5900억원 규모로 발행해 골목상권 자금 선순환을 도모한다.

상인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통시장 지원 사업 추진 전담기관인 '경기시장상권진흥원'을 내년 7월까지 설립하기로 했다. 골목상권 내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의 조직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상인공동체' 육성에도 힘쓴다.

경기도는 이밖에 소상공인이 폐업을 연착륙하고 재기를 도모할 수 있는 안전망 구축에도 힘쓴다.

경기도는 폐업 관리 프로그램인 '경기도 사업정리 도우미 사업'을 확대 시행해(올해 13억원 800개사 지원→내년 15억원 1000개사 지원) 폐업 진단부터, 폐업 실행, 업종 전환, 기술훈련까지 단계별 지원책으로 재도전 역량을 강화한다.

박실장은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약 2조 5268억 원의 자금이 지역상권 내에서 유통되는 경제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통계청에 따르면 도내 소상공인은 전국에서 가장 많은 65만개사 139만명으로, 경기도 전체 업체 중 83.4%, 종사자의 35.5%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kjoo0912@fnnews.com 강근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