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경남도 인구, 여성 167만9천명<남성 170만1천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8 경남 성인지 통계' 발간… 13개 분야 348개 지표 각종 통계 수록

창원/아시아투데이 박현섭 기자 = 경남도 전체인구는 338만명으로 남성(170만1000명)이 여성(167만9000명)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내용은 경남도가 17일 발간한 ‘2018 경상남도 성인지 통계’에 수록됐다.

성인지 통계는 인구, 가족, 보육, 교육, 경제활동, 건강, 복지 등 13개 분야 348개 지표의 각종 통계를 포함하고 있다.

대체로 시 지역은 남성이 군 지역은 여성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으며 60세 미만 구간은 남성이 많고 60세 이상 구간은 여성이 많아지는 구조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성비가 가장 높아 남성이 여성에 비해 1.2배 가량 많은 반면, 60대를 기점으로는 성비가 100명 아래로 내려가 여성이 많았다.

경남 여성가구주는 2000년 20.0%였던 것이 2015년에는 28.6%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향후 2030년에는 33.3%, 2045년에는 37.1%로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한부모가족 수는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지난 20년간 연평균 증가율은 1.7%로 어머니-자녀 가구 증가율은 1.6%, 아버지-자녀 증가율은 2.0%로 나타났다.

어머니-자녀 가구는 2015년 기준으로 8만8303가구(81.6%), 아버지-자녀 가구는 1만9919가구(18.4%)로 집계됐다.

경남의 초혼 연령은 2000년 여성 26.04세, 남성 28.95세였던 것이 2017년에는 여성 30.04세, 남성 32.77세로 4세 가량 증가해 30세를 넘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은 50% 내외로 전국에 비해 낮은 편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남성은 종형인데 비해 여성은 계단형으로 과거 M자형에 비해 20대 청년여성의 경제활동인구가 매우 낮아졌으며 2017년 기준 30대 경제활동참가율은 15.2%로 20대 14.2%와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여성 임시근로자는 13만 1200명으로 남성(8만 2800명)의 1.5배이고, 여성 임금근로자 중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남성의 2배인 것으로 집계돼 여성이 남성에 비해 불안한 일자리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혼여성 중 경력단절여성은 5명 중 1명(19.8%)으로 경력단절 사유는 육아(32.1%), 임신출산(24.7%), 결혼준비(36.2%)순으로 결혼과 함께 경력이 단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태명 도 여성가족정책관은 “경남 여성의 삶을 수치화한 성인지 통계 발간으로 공무원이 객관적인 자료를 통해 성인지 관점으로 정책을 집행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3년 주기로 통계자료를 발간하여 실질적인 성평등 사회가 실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