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우 단백질’에 주목 신기술 개발
조기진단·진행억제 기여 기대
혈액 한 방울로 치매의 진행 정도를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서울대학교 묵인희ㆍ이동영 교수 연구진이 알츠하이머병 유발 물질로 알려진 타우(tau, τ) 단백질의 뇌 축적을 혈액검사로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치매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치매 질환이다. 뇌세포가 심각한 상태로 손상되기 전에 미리 진단해 병의 진단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진단을 위해서는 알츠하이머병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인 타우 단백질의 뇌 축적 여부를 검사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츠하이머병 증상이 나타나 심각해진 뒤에야 일부 대학병원에서 제한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양전자 단층촬영(PET), 자기공명영상(MRI) 장비 등을 통해 진단해 치료 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진은 혈액에 녹아 있는 타우 단백질에 주목했다. 혈액에서 타우 단백질이 많이 검출되면 장차 알츠하이머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이 타우 단백질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면 알츠하이머병으로 뇌세포가 손상되기 전에 병을 판단할 수 있다.
연구진은 정상군과 경도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병 치매 환자들의 혈액에서 아밀로이드 베타 단백질 농도, 타우 단백질 농도, 인산화 타우 단백질 농도를 측정했다. 이후 이들과 뇌 내 타우 축적 사이의 연관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연구진은 혈중 타우와 베타 아밀로이드의 농도 비율이 뇌 타우 단백질의 양에 가장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방법으로 기존 검사 방법의 85% 수준으로 정확하게 알츠하이머병을 예측할 수 있었다.
묵인희 교수는 “지금까지 발표된 수많은 치매 진단 기술들이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며 “그런데 이번에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뇌 속 타우 단백질 축적 유무를 판별해 치매의 진행 정도를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들과 차이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와 관련된 추가적인 지표를 발굴하고 치매 예측의 정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뇌과학원천기술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뇌과학 분야 국제적 학술지인 브레인의 표지논문으로 21일 게재됐다.
이정아 기자/dsun@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