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무병장수 꿈꾸는 백세시대 건강 관리법

[김태열 기자의 생생건강] “65세이상 임플란트 2개까지 보험된다는데...아프면 발치할까? 임플란트 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연세대 치대 김의성 교수, 곽영준 연구원 심평원 빅데이터 조사

- 1차 신경치료 치아 5년 생존율 90.94%, 2차 후속치료 치아 5년 생존율 86.25%

- 1차 신경치료 실패하면 발치보다 우선 재치료 권유

헤럴드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김태열 기자] # 은퇴후 노년기에 들어선 김 모씨(70)는 요즘 치아치료 때문에 고민이 생겼다. 1년전 어금니 신경치료를 받은후 다시 치료를 받는 과정에서 최근에 65세이상에게 임플란트를 2개까지 보험을 적용해준다는 사실을 동네 치과를 통해알았기 때문이다. 김 씨는 여러번 신경치료를 받느니 아예 발치를 하고 임플란트를 심는 것이 나은지 아니면 그래도 보존치료를 계속 하는 것이 좋은지 주변사람들에게 물어봤지만 의견은 반반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심평원)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치과의사들에 의해 시행된 신경치료 받은 치아를 5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신경치료 받은 치아의 5년 생존율은 90.94%로 나타났다. 또한, 처음 시행한 신경치료에 문제가 생겨 재신경치료나 치근단 수술 같은 2차 후속치료를 통해 치아를 구강 내 유지할 수 있는 확률은 86.25%에 달했다. 이는 발치보다 후속치료를 받는 것이 치아 보존에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연세대 치과대학 보존과학교실 김의성 교수와 곽영준 연구원으로 구성된 연구팀은 2010년에 대한민국에서 신경치료를 받은 치아 중 건강보험공단 코호트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된 모든 치아를 조사했다.

2010년에 1차 신경치료가 이뤄진 치아의 총 개수는 2,866,749개였다. 이중 아무런 후속치료가 없었던 치아는 2,812,658개, 후속치료가 있었던 치아는 54,091개였다. 후속치료가 없었던 경우, 5년 후 치아가 남아있는 경우는 90.94%(2,557,800개)였다. 즉 1차 신경치료로도 10개 중 9개의 치아는 5년 넘게 유지됐다. 5년 내 발치된 경우는 9.06%(254,858개)였다.

1차 신경치료 후 다시 문제가 발생해 재신경치료, 치근단 절제술(치아뿌리 끝의 일부를 잘라내고 뿌리쪽에서 신경치료를 시행하는 수술, 의도적 재식술 : 발치해서 치료한 후 다시 원래 상태로 끼워넣는 수술), 의도적 재식술 등 후속치료가 있었던 치아는 총 54,091개였다. 이중 5년 후 생존해 있는 치아는 46,656개(86.25%), 5년 내 발치된 치아는 7,435개(13.75%)였다. 즉 1차 신경치료 후에도 치아에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후속치료를 받아 치아가 유지되는 경우는 86%가 넘었다.

김의성 교수는 “총 286여만 개 치아 중 약 9%에 해당하는 25만여 개의 치아는 후속치료 없이 발치가 됐다. 발치된 치아는 그냥 그대로 있거나, 보철치료 혹은 임플란트 시술을 받았을 것이다. 특히 임플란트는 최근 65세 이상 어르신들에게 평생 2개까지 보험치료가 가능하므로 국가보험 재정에도 부담을 줄 수 있다. 수직치근파절, 치주질환 등 발치를 피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2차 후속치료의 치아 5년 생존율이 86.25%인 것으로 나타나 재신경치료나 치근단 수술을 시도하지 않고 발치가 이뤄진 것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kty@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