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한국당 '5·18 발언' 파문 확산…"해당 의원 제명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자유한국당 일부 의원들의 5·18 광주 민주화 운동 폄훼 발언 파문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다른 정당들은 해당 의원들에 대한 국회 제명 뿐만 아니라 고소·고발까지 추진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비판 성명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박유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휴일 긴급 기자간담회를 열어 비판 수위를 높였습니다.

[홍영표/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 국회 윤리특위에 제소해서 가장 강력한 징계 조치를 취하도록 하겠습니다. 우리는 한국당을 제외한 야 3당과 함께 이들 의원에 대한 국민적 퇴출 운동을…]

바른미래당과 정의당도 제명 등을 포함해 뜻을 같이 하겠다고 했습니다.

민주평화당은 긴급최고위원회를 열어 윤리위 제소 뿐 아니라 고소·고발까지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동영/민주평화당 대표 : 김대중 정신을 짓밟고, 5·18을 짓밟은 이번 사태를 묵과할 수 없다.]

파문이 갈수록 커지자 한국당 지도부는 잇따라 진화에 나섰습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다양한 해석은 존재할 수 있다"는 발언이 도마에 오르자 재차 해명에 나섰습니다.

[나경원/자유한국당 원내대표 : 일부 의원들의 발언이 5·18 희생자들에게 아픔을 주었다면 유감을 표시합니다. 이미 밝혀진 역사에 대해서 우리가 거꾸로 가는 것은 맞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도 "역사적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진 부분에 대한 끝없는 의혹 제기는 곤란하다"며 수습에 나섰습니다.

이런 가운데 비판 성명은 각계로 확산했습니다.

광주시의회와 광주구청장협의회 등 지역 정치권은 한국당을 향해 잇따라 규탄 성명을 냈습니다.

미주지역 5·18광주민중항쟁동지회도 소셜미디어에 성명을 올리고 "당장 사죄하라"고 촉구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이창환·신하림)

박유미, 손준수, 최다희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