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여성 75% "낙태죄 고쳐야"…이르면 내달 위헌 여부 결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이번 조사에서 낙태를 처벌하는 조항을 없애야 한다고 답한 여성은 75%였습니다. 하지만 반대 목소리도 역시 많습니다. 낙태죄에 대해서 헌법재판소가 곧 어떤 결정을 내리게 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 소식은 백민경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우리나라에서 낙태할 수 있는 경우는 크게 3가지 입니다.

강간으로 임신하거나 태아나 모체의 건강이 크게 위협 받는 경우 입니다.

시기도 임신 24주 내로 한정됩니다.

그외의 경우는 예외 없이 수술을 받은 임신부도, 수술을 한 의료인도 모두 처벌 받습니다.

사실상 가족과 여성의 선택권은 없는 셈입니다.

[신자경/경남 밀양시 : 가정형편을 고려하고 개인이나 가족이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복지부 조사에서 현 조항을 개정해야 한다고 답한 여성은 75.4%에 달했습니다.

[홍연지/모두를위한낙태죄폐지공동행동 집행위원 : (불법이다 보니) 병원 정보도 알기 어렵고 후유증이 생겨도 혼자 앓고 있는 상황이니까…]

그러나 태아도 생명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습니다.

[이유빈/경남 밀양시 : (임신한) 책임은 저한테 있는 거니까. 한 명의 생명을 해치는 일을 제가 결정하면 안 된다고 생각해요.]

제대로된 성교육이 부족한 점도 문제입니다.

[릴리 오디지드, 리사 하사 : (낙태가 합법인 독일에선) 초등학교부터 일주일 내내 모든 종류의 피임 방법과 책임지는 법을 배워요.]

이런 가운데 이르면 다음달 헌법재판소가 다시 한 번 낙태죄 위헌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보입니다.

2012년에는 재판관 8명의 의견이 4대 4로 갈렸고, 위헌정족수 6명을 채우지 못해 합헌 결정이 나왔습니다.

(영상디자인 : 정수임·최수진)

백민경, 장후원, 김영선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