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포항시, R&D기술 활용 산업구조 혁신에 매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포항시 신약개발 클러스터 조감도/제공=포항시



포항/아시아투데이 장경국 기자 = 경북 포항시가 철강산업 위주의 단일산업구조에서 바이오·신약, 신소재 등 4개 단지별 클러스터를 조성 등 13개 사업에 3491억원을 투입해 R&D 기술을 활용한 산업구조 혁신에 매진한다.

18일 포항시에 따르면 100억원의 예산으로 올해 7월 준공되는 포항테크노파크 5 벤처 동에 지멘스 헬시니어스를 포함한 글로벌 ICT 융합기업이 입주해 지역의 신 성장동력과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독일에 본사를 둔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지난해 회계연도에 134억 유로화의 매출과 23억 유로화의 순이익을 기록했으며 전 세계 약 5만명의 직원을 둔 헬스케어 분야 글로벌 기업이다.
아시아투데이

R&D기술을 활용한 수중로봇을 실험하고 있는 모습./제공=포항시



오는 26일 기공식을 앞두고 있는 바이오 오픈 이노베이션센터(262억원)는 혁신신약 및 차세대 단백질 신약 개발의 선두기업인 제넥신을 비롯한 20여 개의 바이오벤처 및 제약기업이 입주해 바이오산업의 첨병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또 나노소자, 반도체 장비 등 IT업종 분야 40여 개의 벤처기업이 입주의향을 밝히고 있는 첨단기술사업화센터(160억원)도 다음 달 중으로 착공식을 갖고 연내 준공해 반도체, 센서, 나노분야 등으로 산업구조 변혁의 중심이 될 전망이다.

이와 함께 2016년 제4세대 방사광가속기가 세계 세 번째로 준공되어 제3세대 가속기와 함께 포항시가 추진하는 신약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이외에도 국내 최초의 식물기반 백신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을 위한 시설인 식물 백신 기업지원센터(135억원)가 오는 9월 지식산업센터(250억원)는 10월에 착공해 50여개의 바이오 분야 기업유치에 나설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질병 발생 원인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는 세포막단백 질의 구조 규명을 통한 혁신적 신약개발의 기초가 되는 세포막단백질연구소(458억 원)가 12월 착공할 예정이다.

이에 경북도는 기존 환동해본부를 동부청사로 격상하고 올해 안 포항 융합기술산업지구에 착공해 가속기신약연구소, 비즈니스융복합센터 등 2900억 원대의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클러스터 조성 지원 역할을 할 계획이다.

시는 신흥 철강국의 공급과잉, 건설·조선·자동차 등 전방산업의 저성장으로 지역 철강업계가 어려움에 직면해 있는 가운데 고부가가치 신소재 개발과 철강 본연의 경쟁력 강화를 통해 철강산업 위기를 극복을 위해 국가산업단지인 블루밸리에 올해 말 준공 예정인 고품질 강관 기술지원센터(200억원)를 핵심기관으로 내달 가속기 기반 차세대 배터리 파크 조성 용역을 통해 2차 전지를 비롯한 소재부품단지로 키워 나간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이차전지 4대 소재 기업(양?음극재, 분리막, 전해질)을 포항시에 유치해 소재부품단지의 파이를 키워나갈 방침이다.

한국로봇산업진흥원의 2017년 로봇산업 실태조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국내 로봇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0.2%증가한 5조5255억원으로 가파르게 성장하며 로봇산업이 국가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시는 2017년 개소한 수중로봇 복합실증센터를 중심으로 올해부터 36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2단계 사업인 수중로봇 실용화 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국내외 해양구조물 시장을 개척할 계획이다.

수중건설로봇 관련 기술은 올 초 레드원 테크놀로지, 환경과학기술, KOC 등 기업에 이전되는 등 소기의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또 지진, 해일 등 대규모 재난상황에신속한 대응과 복구를 위한 안전로봇 실증시험센터(671억 )를 올해 상반기 준공하고 실제 재난현장 적용을 위한 재난현장 로봇 활용지원사업(130억원)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이를 기반으로 로봇산업의 인프라와 전문 연구기관과 협력해 포항을 재난에서 안전한 도시로 만들고 영일만 3일반산업단지를 대한민국 로봇산업의 전진기지로 만들어가기 위해 지속적인 지원으로 로봇 관련 기업을 유치해 로봇산업의 메카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강덕 시장은 “포항시가 조성하고 있는 핵심 연구기관이 포스코의 벤처밸리 조성 구상과 조화를 이룬다면 포항시의 산업구조는 기존 철강산업과 더불어 바이오·신소재·IT융합·로봇산업 등 산업 다변화가 이뤄져 많은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