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6 (토)

유방암 환자 사회복귀, 선진국 비해 낮아… "암 위험 인자로 인식 말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유방암(게티이미지뱅크)


우리나라 유방암 환자의 사회복귀가 저조하며, 이로 인한 사회적 손실이 적지 않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시장분석기관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이 화이자 후원으로 '아시아 태평양 노동 인구 중 유방암 환자 및 생존자, 한국: 심화되는 문제와 초기 대응' 보고서를 발표했다.

EIU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유방암의 경우 발병률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생존율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5년 이상 생존율은 약 83%(1996~2000)에서 92%(2011~2015) 수준이다. 사망·발병비에서도 한국이 가장 양호한 수치를 보이는 국가로 조사됐다. 서구에 비해 진단 연령도 10년가량 젊다. 국내 유방암 진단 연령 중앙값은 50세, 미국의 경우 62세다. 국내 유방암진단 환자 중 84% 이상이 진단 당시 경제활동인구에 해당하는 65세 미만인 데 반해, 한국 유방암 생존자 일자리 복귀율은 58%로 북미·유럽 내 7개국과 비교했을 때 가장 낮았다.

이러한 이유로 국내 유방암 생존자의 경력 단절 등에 따른 생산성 손실이 최근 15년간 약 7배 상승해 약 6420억원 규모(2014년 기준)에 달했다. GDP 기준 손실 비중도 1999년 0.02%에서 2014년 0.04%로 증가해 향후 한국의 유방암 발생에 따른 경제적 비용이 광범위한 사회 문제로 확대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계적으로 유방암 생존자의 치료 후 일자리 복귀 문제는 중요한 과제로 주목받는다. 이들이 일자리 복귀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의학적 치료 방법, 직장 내 대인관계, 정부 정책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한다.

한국은 유방암 생존자가 일자리 복귀에서 다양한 사회적 장벽을 경험했다. △암환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미흡한 법률적 보호장치 등이 한국 유방암 생존자가 겪는 주요한 사회적 난관으로 분석됐다. 2017년 5월 국립암센터가 일반인 1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 '암이 있는 직원은 동료를 배려해 사내 행사에 참석하지 말아야 한다(54%)' '기업은 직무경험이 있는 암환자보다 건강한 신규 노동력을 고용해야 한다(52%)' 등 부정적 응답이 높았다.

한국 암 생존자 사회 복귀에 대한 법률적 제도 개선에 대한 검토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법상 개인의 신체적 상태 또는 병력에 근거한 차별을 금지하고 있지만 업무상 사유로 암이 발병했음을 입증하지 못하면 병가를 낼 수 없는 게 현실이다. 직원이 질병으로 인해 업무를 충분히 수행할 능력이 없는 경우도 정당한 해고 사유에 해당해 개선된 법률적 보호장치 마련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조주희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장(교수)은 “부정적 인식과 잘못된 정보가 상호 연관되어 발생하는 어려움이 암 생존자 사회복귀의 더욱 큰 장벽”이라고 지적했다.

장윤형 의료/바이오 전문기자 why@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