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14 (목)

[사설]'케이무크' 사업 제대로 가고 있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1일 교육부가 2019년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케이무크' 기본 계획을 발표했다. 올 2학기부터는 일반인도 이수 결과를 학점으로 인정받는다. 강좌 수도 올해 150여개를 추가, 650개 강좌를 개설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부응해 대학뿐만 아니라 기업부설연구소, 직업능력개발훈련기관도 강좌 개발에 참여할 수 있다. '무크(MOOC)'는 무료로 진행하는 대학 온라인 강의를 말하며, 교육부는 2015년 케이무크(K-MOOC) 서비스를 시작했다. 지난해까지 회원 35만7000여명이 가입했고, 수강 신청도 77만6000건이 이뤄졌다.

케이무크는 도입 4년차를 맞지만 성과는 기대에 못 미쳤다. 특히 미흡한 이수율이 가장 큰 과제였다.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15~2017년 평균 강좌 이수율 9.2%에 머물렀다. 강좌당 이수 비중은 더욱 저조했다. 3년 간 792개 강좌 가운데 3분의 2가 이수율 10% 이하였다. 운영 강좌 가운데 신청자가 끝까지 이수한 강좌는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반면에 예산은 매년 증액됐다. 2015년 22억6800만원에서 2017년 69억2800만원에 이어 지난해 78억4000만원으로 연평균 50%씩 늘어났다. 예산에 비해 성과가 미흡했다는 지적을 받기에 충분하다. 교육부가 일반인에게도 학점을 인정해 주고 강의 과정 수를 늘린 배경도 이 때문이다.

강의 내용과 운영 방법도 되짚어 봐야 한다. 대다수 강좌가 이수율이 10% 미만이라는 사실은 호기심으로 접속했다가 내용이 기대에 못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혜택이나 강제성이 없기 때문에 쉽게 그만둘 개연성도 높다. 본인 선택이라고 항변할 수 있지만 케이무크는 국가 예산으로 운영되는 사업이다. 매년 70억원 가까운 예산을 투자하지만 성과가 없다면 전시행정일 뿐이다. 교육 접근성과 형평성을 끌어올리자는 케이무크 사업의 취지와도 어긋난다. 강좌 개설 수에 만족하지 말고 콘텐츠 내용에서 운영 방식, 사후 관리까지 평생 교육 수단으로 자리 잡도록 꼼꼼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