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수익형 부동산 서울만 온기 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달 거래량 전월대비 6% 늘어

입주 많은 강동, 송파구 등 최다

규제로 갈곳잃은 유동자금 몰려

아시아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최중현 기자 =수익형부동산 시장에도 찬바람이 불고 있지만 유독 서울만 훈풍이 불고 있다.

전국적으로 지난해 9·13대책 이후 대출 규제 등으로 주거용 부동산 투자 수요가 크게 줄었고 오피스와 상가 등 상업·업무용 부동산 시장도 위축되고 있는 상황이다.

21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1월 전국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만1305건으로 전월 대비 6% 하락했으며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는 2만6580건으로 전달(2만7822건) 대비 4.46%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용 부동산은 각종 규제와 금리인상, 공시가격 현실화로 매수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서면서 최근 거래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상업·업무용 부동산도 대출 규제와 함께 수익률이 감소하면서 동반 하락하고 있다. 지역경제 악화와 자영업자들의 폐업, 이전 등으로 상권이 무너지는 곳이 늘면서 빈 상가가 증가하고 있어서다.

각종 규제 직격탄을 맞은 서울 역시 주거용 매매거래는 급격히 감소했지만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는 오히려 늘었다.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889건으로 전달 대비 20% 감소하면서 지난해 1월과 비교해 절반에도 못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는 5451건으로 전달(5140건) 대비 6% 증가했다. 서울의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이 지난해 11월 -21.37% 급감하더니 12월 10.59%, 지난달 6%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대규모 단지의 입주가 시작되거나 입주를 앞둔 지역에서 상업·업무용 거래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지난달 상업·업무용 부동산 거래량 중 강동구가 923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송파구가 865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처럼 서울에서 수익형부동산 거래가 늘어난 이유는 유동자금의 흐름이 상대적으로 규제가 적은 수익형 부동산으로 유입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서울의 경우 규제로 인해 갈 곳을 잃은 유동자금이 오피스나 상가 등으로 몰리면서 ‘풍선효과’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서울은 각종 규제의 영향권에 들어가면서 다주택자들에 대한 규제가 강하게 나타났다”며 “서울의 경우 전역이 조정대상지역으로 묶이는 등 규제지역이다보니 자금이 수익형 부동산에 흘러가면서 풍선효과가 발생한 것”이라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