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성장세 둔화 확인하면서 달성한 1인당 국민소득 3만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금융신문

자료=한은



[한국금융신문 장태민 기자]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3만 달러를 넘어섰다.

2017년 이미 3만 달러에 육박했기 때문에 원화가 특별히 큰 폭으로 약해지지 않으면 지난해 3만 달러 달성은 기정사실화돼 있었던 게 사실이다.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국민계정 잠정치를 보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전년비 5.4% 증가한 3만 1349달러였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2.7% 늘었으며, 명목 국내총생산은 1782.3조원으로 전년대비 3.0% 증가했다.

■ 인당 소득 3만불..더뎌진 소득 증가 속도

한국의 1인당 GNI는 1994년 1만 168달러를 기록하면서 처음으로 1만 달러를 돌파했다.

하지만 1998년 IMF 외환위기로 나라 경제가 망가지고 원화가치가 폭락하면서 1998년 인당 GNI는 7898달러로 떨어졌다. 이후 1년만인 1999년 1만282달러를 기록하면서 다시 1만달러를 회복했다.

1인당 GNI는 2006년 2만795달러를 기록하면서 2만달러를 돌파했다.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성장률은 둔화됐다.

인당 소득 3만 달러까지 오기까지 12년이 걸렸다. 인구 5천만명 이상의 국가 중 인당 소득 3만 달러를 넘는 국가는 미국, 프랑스, 영국, 독일, 일본, 이탈리아 6개국으로 이들은 2만 달러에서 3만 달러로 가는데 평균 9.7년을 들였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한국의 성장세는 갈수록 둔화된 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까지 이어지면서 한국에겐 3만 달러로 가는 데 더 긴 시간이 필요했다.

■ 인당 소득 3만불..세계 속의 한국

한국금융신문

자료=한은



대략 세계의 모든 나라를 기준으로 할 때 한국의 1인당 GNI는 40위권이다. 2016년 순위가 40위였으며, 2017년엔 38위 수준이었다.

통상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나라들은 우리보다 10여년, 혹은 20년 이상 전에 이미 3만 달러를 달성했다.

일본은 1992년, 독일은 1995년, 미국은 1997년 3만 달러를 돌파했다. 일본은 1995년 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까지 돌파했으나 이후 완전히 성장이 정체됐다.

일본의 2017년 인당 GNI는 3만 9561달러를 기록했다. 즉 20년 남짓 전의 잘 나갈 때 수준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현재 일본 취업시장이 달아오른 것은 단카이 세대의 대규모 은퇴에 따른 인구 요인에 근거한다.

미국, 독일, 영국, 프랑스 등 선진국들은 2000년대 중반 전후에 4만달러를 달성했다.

한국금융신문

자료=한은



■ 인당 소득 3만불 시대..물가압력 낮아진 가운데 더 또렷해지는 성장둔화

인당 국민소득이 3만불을 넘어섰지만 물가 상승률 둔화 등으로 명목 성장률 둔화는 확연하다.

가장 넓은 범위의 물가, 즉 종합 물가라고 부를 수 있는 GDP 디플레이터가 0.3% 상승하는데 그치면서 명목 GDP는 3% 정도 늘어나는 데 그친 것이다.

GDP디플레이터는 2006년 -0.1% 이후 12년만에 최저 수준이었다. 물가 상승률이 한계를 나타내면서 명목 성장률이 늘어나는 속도도 크게 느려졌다.

명목 GDP 3.0% 성장은 1998년 -1.1% 이후 20년만에 최저였다. 즉 IMF 외환위기라는 한국 경제사의 가장 큰 충격 이후 가장 느린 명목 성장률이다.

명목 GNI는 2.9% 늘어났는데, 이 역시 1998년 -1.9% 이후 20년 만의 최저였다.

이날 발표된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비 0.5%에 그쳤다. 두 달 연속 0%대 상승률을 기록한 것이며, 2016년 8월(0.5%) 만큼 낮은 수치였다.

연내 금리동결을 예상하는 시선이 많지만, 지난해 GDP 디플레이터가 0%를 약간 넘는 수준을 보인 점이나 올해 초 0%대의 물가 상승률, 향후 물가 상승률 확대의 한계 등을 감안하는 사람들은 금리인하를 전망하기도 한다.

저성장세가 고착화되면서 앞으로도 물가가 크게 오르기 어렵다는 관점이 적지 않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반도체 경기가 좋지 않은 데다 수출은 회복이 만만치 않다"면서 "GDP 디플레이터, 소비자물가 등 물가 관련 지표도 인플레이션과 거리가 멀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시기의 문제지, 금리 인하는 단행될 수밖에 없다고 본다"면서 "다만 지금 한은의 매파적인 스탠스를 감안할 때 채권 강세 베팅을 하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