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아시아나항공 매각과 인수

아시아나 압박하는 채권단 "시장성 차입금 확 줄여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KDB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은행이 아시아나항공에 과도한 '시장성 차입금' 축소 계획을 마련하라고 요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산은 등 채권단은 아시아나 측이 마련 중인 자구 계획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겨야 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채권단 관계자는 "아시아나는 금융권에서 빌린 돈보다 자본시장에서 조달한 자금이 비정상적으로 많다"며 "신용등급이 하락해 상환 요구가 빗발치면 유동성 위기에 처할 가능성이 큰 만큼 강도 높은 자구 계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시아나는 은행 등 금융사에서 빌린 돈은 4000억원 규모인 반면 회사채·자산유동화증권(ABS)·금융리스부채 등 비금융사에서 빌린 시장성 차입금은 3조원에 육박한다. 이 가운데 1년 안에 갚아야 할 단기 차입금은 1조3200억원이다. 이뿐만 아니라 아시아나가 발행한 회사채와 ABS에는 아시아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BB+)으로 하락하면 조기 상환해야 한다는 조건이 걸려 있다.

또 시장성 차입금은 개인투자자 자금이 많이 포함돼 있어 아시아나가 유동성 위기에 빠지면 자칫 개인투자자의 대규모 손실로 이어진다. 최근 삼일회계법인이 아시아나항공에 대한 감사 의견을 '한정'으로 냈을 때 시장이 요동쳤던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시장성 차입금 축소에 필요한 자금은 자산 매각을 통해 마련하라고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고위 관계자는 "항공 운송과 직접적으로 연관 없는 우량 자산을 매각하는 등 신용등급을 유지하기 위한 자구 노력이 핵심"이라며 "그래야 채권단도 아시아나에 신뢰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매각 대상으로는 금호리조트·에어서울·에어부산·아시아나개발·아시아나에어포트·아시아나IDT 등 지분과 골프장·아시아나타운 등 부동산이 꼽힌다.

산은, 수출입은행, SC제일은행 등 채권단이 차입금 상환 자금 확보를 돕기 위해 이들 자산에 약 1조2000억원 규모로 설정한 담보권 중 일부를 풀어줄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산은은 아시아나가 채권단에 납득할 만한 자구 계획을 제시해야만 이번주 만료되는 경영 개선 약정(MOU)을 연장해준다는 방침이다. 만일 산업은행이 MOU 체결 연장을 거부하면 아시아나에 대한 시장 신뢰는 곤두박질치게 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아시아나의 재무·경영 담당 임직원들은 31일에도 산업은행 등 채권단을 만족시킬 만한 자구계획을 마련하기 위해 회사로 출근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4월 6일 유동성 위기 극복을 위해 산은 등 채권은행단과 MOU를 맺었다. MOU 주요 내용은 비핵심자산 매각과 전환사채·영구채 발행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따라 지난해 CJ대한통운 지분 매각(940억원), 전환사채 발행(1000억원), 그룹 광화문 사옥 매각(4180억원) 등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했다.

아시아나 측은 국적 항공사이자 기간산업인 점을 고려해 채권단이 '대승적 결단'을 내려주기를 바란다는 분위기다.

아시아나 고위 관계자는 "사실 이번 '감사보고서 사태'는 회계법인과의 이슈였지, 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의 직접적 책임이 아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박 회장이 퇴진을 결정한 것은 이번 사안뿐 아니라 지금껏 쌓인 것들을 자신의 퇴진으로 모두 털고 가자는 의미"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채권단에 신규 자금 지원을 바라는 것이 아니다"며 "현재 금융 지원을 유지하는 MOU를 다시 맺어 신용등급이 떨어지지 않도록 해주면 유동성 문제는 자력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동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