꼼꼼해진 회계법인…기업들 감사시간·보수 크게 늘어
30여개 기업 상장폐지 공포…그룹 총수 퇴진까지
올해도 삼성바이오 등 이슈 지속…11월엔 감사인 지정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데일리 이명철 기자] 2015년 대우조선해양의 4조원대 분식회계 논란으로 시작된 회계개혁의 결실 신(新) 외부감사법. 도입 첫 해인 올해 기업과 회계업계, 자본시장은 대대적인 ‘회계 정국’을 겪었다. 수십여개 상장사들은 외부감사의 엄격한 회계 문턱을 넘지 못했고 투자자들은 상장폐지 공포를 겪어야 했다. 회계법인도 무거워진 책임에 부담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여느때보다 혼란스러웠던 감사시즌이 마무리됐지만 전문가들은 회계개혁을 위한 작업은 이제 시작이라고 입을 모은다. 하반기에는 감사인 지정이 본격화되고 묵혀놨던 회계이슈도 다시 고개를 들 전망이다. 기업들의 회계 역량 강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주식시장 시가총액 상위 30개 기업의 감사현황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감사시간은 약 40만시간으로 전년(약 36만시간)대비 11.3% 증가했다. 전년 증가폭(6.4%)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기업당 감사시간은 1만3300여시간이었다. 기업당 감사보수도 약 9억9400만원에서 11억4300만원으로 15% 가량 상승했다.
KT&G(033780)의 경우 2016~2017년 감사를 맡던 삼정회계법인에서 안진회계법인과 새로 계약을 맺으면서 감사보수(약 23억1300만원)와 감사시간(2만5270시간)이 각각 318%, 187%나 증가했다. 지난해 감사 홍역을 치른 삼성바이오도 감사보수·시간이 각각 40%, 36% 늘었다.
중소기업은 증가폭이 더 컸다. 시가총액 5000억원대인 코스닥 기업 26개의 지난해 감사시간을 조사한 결과 총 3만3340시간으로 1년새 27.6% 늘었다. 기업당 감사보수는 44.3%나 오른 1억1300만원으로 집계됐다.
신 외감법은 감사인의 독립성과 책임을 강화해 회계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해 도입한 제도다. 2015년 불거진 대우조선해양(042660)의 분식회계 논란으로 회계개혁 필요성이 제기됐다. 삼성바이오로직스(207940)가 계열사 회계 처리를 놓고 감독당국과 대립한 사건은 신 외감법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됐다. 기업의 회계 처리가 사회 문제로 부각되면서 회계법인은 기업 감사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예전처럼 관례대로 처리했다간 사회적 비난은 물론 법적 책임에서도 자유로울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회계법인들의 꼼꼼한 감사가 이뤄지면서 기업들은 결산에 애를 먹기도 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사업연도에 감사의견 ‘비적정(한정·거절)’을 받은 곳은 33개로 전년대비 32% 증가했다. 이중 32개사는 당장 상장폐지 사유가 발생했다. 아시아나항공(020560)은 감사인과 충당금을 더 쌓으라는 감사인과 대치하다가 감사의견 ‘한정’을 받았다. 며칠만에 의견을 받아들여 ‘적정’으로 전환했지만 박삼구 그룹 회장이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는 등 후폭풍이 컸다.
감사 대란은 일단락됐지만 회계 이슈는 현재 진행형이다. 우선 삼성바이오와 금융위원회는 증권선물위원회 제재를 두고 법정에서 공방을 벌인다. 분식회계 의혹이 제기된 셀트리온(068270)이나 포스코건설의 감리 결과도 주요 관심사다. 올해 테마감리도 조만간 시작할 예정이다. 10월에는 금융당국이 처음으로 220여개 기업에 대해 감사인을 지정하게 된다. 그동안 삼일회계법인과 감사인 계약을 맺고 있던 삼성전자(005930)를 비롯해 다수 대기업이 포함될 전망이다.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