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한국당의 5.18'…황교안 대장정 투쟁의 성과와 숙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민우 기자] [the300]조직장악 후 자신감 얻었지만…외연확장·대여투쟁 성과, 어려운 과제

머니투데이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민생투쟁 대장정'을 이어가고 있는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오른쪽)가 19일 제주시 회천동 북부광역환경관리센터(소각장)를 방문, 시설 관계자로부터 제주지역 폐기물 처리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2019.5.19/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유한국당이 황교안 대표 주도로 펼친 고강도 대여투쟁 '국민 속으로 민생투쟁 대장정'을 일주일 남겨뒀다. 당 내부에서는 황 대표가 이번 대장정으로 당내 조직기반을 다지고 민심 결집에 상당 부분 성과를 거뒀다고 자평한다. 그러나 청와대나 여당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얻어낸 것은 많지 않다는 평가도 나온다. 국회 복귀명분 마련도 어려운 숙제다.

7일 부산에서 전국 순회를 시작한 황 대표는 부산·경남과 대구·경북을 거쳐 충청, 광주에 이어 19일 제주지역을 방문한다. 이후 전북(20일), 인천(21일), 경기(22일), 강원(23일)을 차례로 방문한 뒤 다시 경기(24일)를 거쳐 25일 서울 광화문에서 대규모 장외집회를 열 계획이다. 전국을 돌며 이어온 민생투쟁 대장정의 종지부를 찍는 것이다.

당 안팎에서는 황 대표가 이번 투쟁을 통해 자신감을 얻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대표 취임 후 장외투쟁을 처음 진두지휘 하면서 전국단위의 당 조직을 장악했다. 전국을 돌며 문재인정부의 경제실정을 국민들에게 알리는 것도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는 게 당내의 평가다.

황 대표는 내부조직 장악을 바탕으로 외연확장에도 나섰다. 4일과 18일 두 차례 광주를 찾은 게 대표적이다. 그러나 실질적 성과를 거뒀는지는 아직 미지수다.

더불어민주당이 수십년에 걸쳐 한국당의 텃밭으로 분류되던 PK(부산·울산·경남)와 TK(대구·경북) 지역의 문을 끊임없이 두드린 끝에 PK를 중심으로 지지층을 넓혀갔지만 한국당은 호남 공략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이정현 의원(전남 순천시)이 지역구에서 당선되는 등 의미있는 확장도 이뤘지만 탄핵 사태 등을 거치며 힘을 잃었다.

이같은 상황을 타파하기 위해 황 대표는 광주 5.18 희생자 가족의 모임인 '5월 어머니회' 등으로부터 "오지말라"는 거센 항의를 받았지만 방문을 강행했다.

머니투데이

(광주=뉴스1) 황희규 기자 =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8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9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에 참석하기 위해 행사장에 들어서면서 시민들의 거센 항의를 받고 있다. 2019.5.18/뉴스1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황 대표는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식을 마친 뒤 입장문을 통해 "제 방문을 거부하고 항의하신 분들 심정도 충분히 헤아리고 이해하고 있다. 한국당 대표로서 당연히 안고 가야 할 일이라고 생각하며 그 분들의 목소리도 가슴에 깊이 새길 것"이라며 "광주의 상처가 치유되고 시민들의 마음이 열릴 때까지 진정성을 갖고 광주를 찾고 광주 시민들을 만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황 대표는 광주를 찾기전 5.18 망언 논란을 일으킨 이종명 의원에 대한 징계를 마무리 짓지 못했다. '3개월 당원권정지' 처분을 받은 김순례 의원도 징계기간이 끝난 후 최고위원으로 복귀할 가능성이 열려있다. 광주 시민이 황 대표에게 반발하는 것도, 광주방문의 진성성을 의심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등 여권에서는 황 대표가 지역감정을 조장하기 위해서 광주를 방문한다고까지 말한다.

이 같은 의심과 비난을 어떻게 잠재울 것인가는 황 대표 체제의 한국당에게 중요한 과제다.

장외투쟁에서 청와대와 여당으로부터 얻어낸 것이 없다는 점도 한계다. 황 대표는 선거법·사법제도 개편의 신속처리안건(패스트트랙) 지정에 반발하며 국회 밖으로 뛰쳐나갔다. 여당에 패스트트랙 강행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여당이 사과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에게 1대 1 단독 영수회담을 제안하고 기존의 5당이 모두 참여하는 여야정 상설협의체가 아니라 원내교섭단체 중심으로 여야정 협의체를 하자고 제안했으나 이 역시 청와대와 여당이 아직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김민우 기자 minuk@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