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5 (수)

이슈 화웨이와 국제사회

중, 반미 선전전 vs 미, 화웨이 거래 중단…치킨게임 양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중국 관영매체가 한국 전쟁에서 미군과 싸운 중공군의 활약상을 그린 프로그램을 집중 편성하고 있습니다. '반미 선전전'을 강화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구글 등 미국의 주요 정보통신 기업들은 중국 화웨이와 더이상 거래하지 않겠다고 했습니다.

신경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중국 CCTV가 한국전쟁 당시 후방 철도부대를 다룬 영화 '철도호위병'을 긴급 편성했다고 공지했습니다.

지난 목요일 중공 인민해방군을 그린 '영웅 아녀'를 시작으로, '장진호 전투 다큐멘터리' 등 5번째 긴급 편성입니다.

인민일보는 7일 연속으로 반미 칼럼을 실었습니다.

중국의 합의 파기, 기술 절도 등 미국의 주장을 "강도 같은 논리"라는 극한 용어로 반박했습니다.

1963년 중·소논쟁 당시 9차례 연재했던 기록을 깰 기세입니다.

시진핑 주석은 오늘(20일) 장시성의 희토류 공장을 시찰했습니다.

일본을 굴복시켰던 보복 카드를 쓸 수 있다는 엄포 성격입니다.

미국도 강공으로 맞섰습니다.

상무부가 화웨이를 제재 기업 리스트에 올린 뒤 주요 기업들의 동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블룸버그통신은 인텔, 퀄컴 등이 화웨이에 제품을 공급하지 않을 방침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앞서 구글도 화웨이에 핵심 소프트웨어 공급을 중단했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중국에사는 위안화 가치가 빠르게 떨어지면서 물가가 오르는 등 무역전쟁의 여파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애국주의 열풍도 고조되면서 미·중 대결이 치킨게임 양상으로 흐르고 있습니다.

신경진, 김동준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