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美 170여 신발업체, "對中관세목록서 신발 제외" 요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에 서한 보내

"중국내 공장 쉽사리 옮길 수 없어"

"소비자·신발업체·美경제에 재앙"

뉴시스

【뉴욕=AP/뉴시스】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메이저 브랜드를 포함한 170여 업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품목에서 신발을 제외해줄 것을 촉구했다. 뉴욕에 있는 나이키 매장. 2019.05.2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스앤젤레스=뉴시스】류강훈 기자 = 나이키와 아디다스 등 메이저 브랜드를 포함한 170여 업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중국산 제품에 관세를 부과할 품목에서 신발을 제외해줄 것을 촉구했다.

더힐의 보도에 따르면 이들 업체는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에서 "중국에서 수입되는 신발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우리 소비자와 신발업체, 그리고 미국 경제 전반에 재앙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10일부터 2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0%에서 25%로 올린 트럼프 행정부는 아직 관세를 매기지 않은 325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체품에 대한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준비 중이다.

신발은 의류와 식품, 농산물 등과 함께 새롭게 추가될 관세 부과 대상 목록에 들어있다.

신발업체들은 신발에 대한 높은 관세는 근로계층의 개인과 가족에 불균형적으로 피해를 주게 된다고 주장했다.

이들 업체는 신발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의 신발 고객들이 연간 70억 달러의 추가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미국 신발유통소매협회의 자료를 인용하며 신발에 대한 관세 부과에 반대했다.

신발업체들은 "신발산업이 중국에서 탈피하고 있기는 하지만 신발은 공급원에 대한 결정을 내리기 위해 수년간의 계획을 세워야 하는 자본집약적인 산업"이라면서 "신발업체들은 이러한 (관세정책) 변화에 맞추기 위해 공장을 단순히 옮길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든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은 미국 소비자들에게 비용 지불을 요구하는 것"이라면서 "이제 무역전쟁을 끝낼 때"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hooney0405@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