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은 "미·중 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금융 리스크 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금융신문

[한국금융신문 김경목 기자]

미·중 무역분쟁 및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의 21일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금융업계 관계자 96명은 미·중 무역분쟁 및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응답비중 50% 이상)이라고 답했다.

한은은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 글로벌 경기 둔화, 가계부채 누증 등에 대한 응답비중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응답자들이 선정한 5개 리스크 요인을 단순 집계)으로는 미·중 무역분쟁(67%),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66%), 기업실적 부진(44%), 부동산시장 불확실성(44%)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1순위 응답빈도수 기준으로는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22%), 미·중 무역분쟁(21%), 글로벌 경기 둔화(11%), 가계부채 누증(9%) 등의 순이었다.

미·중 무역분쟁,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기(1~3년)에 현재화할 가능성이 있는 리스크 요인으로 지목됐다.

한은은 "기업실적 부진,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발생 가능성이 높은 리스크로, 미·중 무역분쟁,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발생 가능성이 중간 정도인 리스크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영향력을 보면 기업실적 부진, 미·중 무역분쟁, 국내경제 성장세 둔화는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교적 큰 리스크로, 부동산시장 불확실성, 가계부채 누증은 중간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 리스크로 응답됐다.

한국금융신문


지난해 11월 서베이 결과와 비교하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중국 금융·경제 불안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되고 수출 감소 등 기업실적 부진이 새로운 리스크 요인으로 추가됐다고 밝혔다.

또한 응답비중 50% 이상인 리스크 요인 개수가 줄어드는(4개 → 2개) 등 특정 리스크 요인에 우려가 집중되는 정도가 이전에 비해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 금융시스템, 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 '낮다' 비율 27% →52% 상승

한국금융신문


단기(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은 지난 서베이 시점(18.11월)에 비해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한은은 "충격 발생 가능성이 높다라고 응답한 비율이 29%에서 4%로 하락한 반면 낮다는 응답 비율은 27%에서 52%로 상승했다"고 밝혔다.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도 지난 서베이 시점(18.11월)보다 소폭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높다로 응답한 비율은 40%에서 34%로 하락한 반면 낮다는 응답 비율은 16%에서 24%로 상승했다.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충격의 발생 가능성이 하락한 가운데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도 지난 서베이 시점에 비해 더욱 개선된 것으로 응답됐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이 높다는 응답비율은 37%에서 50%로 상승하고 보통 및 낮다는 응답 비율은 각각 56%에서 44%, 7%에서 6%로 하락했다.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는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와 금융전문가를 대상으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2년부터 연 2회 실시되고 있다.

이번 서베이 실시 기간은 지난달 22일부터 5월 14일까지였고, 조사대상자는 79개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및 주요 금융전문가 총 96명이었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