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30 (일)

이슈 게임정책과 업계 현황

게임개발자들 "韓 게임중독연구 편향"...질병코드 반박성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내 게임개발자 모임인 한국게임개발자협회가 10일 세계보건기구(WHO)의 게임 중독 질병 분류의 국내 도입에 대한 반대 성명서를 냈다. 성명서에는 한국인디게임협회, 넥슨 노동조합, 스마일게이트 노동조합, 스마트폰게임개발자그룹 등 게임업계 종사자 단체가 이름을 올렸다.

조선일보

지난달 29일 한국게임산업협회를 비롯한 89개 단체가 참여한 게임 질병코드 반대를 위한 공동 대책 위원회가 발족했다. 왼쪽부터 김병수 한국인터넷PC문화협회장, 황성익 한국모바일게임협회장,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공대위 대표), 정석희 한국게임개발자협회장, 최요철 차세대융합콘텐츠산업협회장. /이정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게임개발자협회는 "우리는 WHO의 게임이용장애 관련 결정에 대해 모든 것을 부정하지 않는다"면서도 "사회과학 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으로 섣부른 국내 도입을 반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2013년 보건복지부의 예산으로 개발된 게임 중독 진단 척도 기준(IGUESS)에 대해서는 "1998년에 개발된 인터넷중독 진단척도 문항을 그대로 번안한 수준"이라며 "평소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이 자가 문진을 해도 잠재적 위험군 혹은 고위험군으로 나온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심각한 오류를 가진 진단 기준을 기반으로 지난 2014년 이후부터 수백편에 달하는 게임 중독 연구 논문들이 나왔다"며 "수년간 해당 논문에 사용된 연구비만 250억원이나 정부 예산으로 집행됐다"고 비판했다.

이들 5개 단체는 "‘게임 과몰입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자료에 의하면 2013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국내 게임 과몰입 관련 논문 중 89% 이상이 게임은 행위 중독의 요인이라는 논조의 프레임에서 시작된 의도적 논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전세계적으로 같은 시기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서구권에서는 52%가 게임 중독 혹은 게임 질병 코드 도입에 대해 부정적이거나 중립적인 논문을 내놓았다"고 예시를 들었다.

개발자들은 또 관련 논문의 양적 확장보다 질적 개선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게임 질병코드의 도입은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질 수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인정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들 단체는 "게임은 건전한 놀이이자 영화나 TV, 인터넷, 쇼핑 같은 취미 중 하나일 뿐"이라며 "개인의 건전한 놀이나 취미 활동이 과하다고 질병으로 취급하면 제2, 제3의 게임 질병코드가 개인의 취미 생활을 제약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전체 국민 중 67%가 이용하는 게임은 사회 공익적인 측면이 있다"며 "게임업계가 스스로 건전하고 합리적인 게임 내 소비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도록 부정적 인식 개선을 위해 게임 제작 현장에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안소영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