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다운증후군 지적 장애 치료 돕는 길 열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다운증후군에서 지적 장애를 일으키는 요인 유전자(DSCR1·Down syndrome critical region gene 1)와 작동기작을 다운증후군 동물 모델을 통해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다운증후군 환자의 지적 장애에 대한 치료 방법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 생명과학부 민경태 교수 연구진은 DSCR1 유전자가 조작된 쥐를 이용, 성체 신경발생 과정에서 중요한 후성 조절 인자(epigenetic refulator)인 TET1 단백질과 miR-124의 발현에 DSCR1 단백질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2일 밝혔다.

뉴스핌

(그림) 다운 증후군 모델 쥐에서 나타나는 성체 신경발생 결손 및 학습, 기억 장애가 DSCR1 유전자의 숫자를 정상으로 만들어 줌으로 회복됨. 2019.06.12. [자료=UNIST]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성체 신경발생(adult neurogenesis)은 성인 뇌의 해마 지역에서 새로운 신경 세포가 생성되는 과정이다.

현재까지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을 비롯해 신경발달 관련 질병인 정신분열병, 다운증후군 등 많은 신경장애 질병에서 성체 신경발생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 질병과 성체 신경발생 간의 병리학적 관계 및 분자, 세포학적 기작에 대한 이해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연구진은 학습과 기억 능력이 결핍된 다운증후군 쥐 모델(Ts65Dn)에서 과발현한 DSCR1 유전자의 수를 정상적으로 복원해 손상된 성체 신경발생과 학습 및 기억 장애의 정상 회복에 성공했다.

제1저자인 최치열 박사과정 연구원은 “DSCR1 단백질에 의한 두 후성 조절 인자 (TET1 단백질과 miR-124)의 발현이 해마 지역에서 일어나는 성체 신경발생의 작용 원리이며, 다운증후군에서 나타나는 성체 신경발생 장애의 핵심 기작”이라고 설명했다.

민경태 교수는 “성체 뇌에서 일어나는 해마 신경발생 과정을 조절하는 기작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제공할 것”이라며“다운증후군 환자의 인지 능력 결핍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논문명 “DSCR1-mediated TET1 splicing regulates miR-124 expression to control adult hippocampal neurogenesis”)는 분자생물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의 학술지인 ‘엠보 저널(The EMBO Journal)’ 온라인판에 지난 11일 게재됐다.

kimys@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