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국민 생선' 고등어 얼마나 드세요…1인당 연간 2.8㎏ 소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10년간 마리당 평균 가격 3천273원, 변동 거의 없이 보합세

수입 고등어 노르웨이산이 81%…8년 만에 비중 2.8배로 상승

연합뉴스

수산물 선호도 순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부산=연합뉴스) 이영희 기자 = 한국인이 가장 즐겨 먹는 수산물 고등어. 그래서 '국민 생선'으로 불린다.

국민 한 사람이 연간 2.8㎏을 소비하며, 최근 10년간 소비자 가격은 마리당 3천200여원으로 큰 변동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19일 발표한 인포그래픽 '국민 생선 고등어의 경제학'에 따르면 올해 3월 전국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벌인 설문조사에서 '가장 좋아하는 수산물'로 12.3%가 고등어라고 응답했다.

오징어는 11.3%, 갈치는 9.9%로 그 뒤를 이었다.

고등어는 2017년과 2018년 조사에서도 좋아하는 수산물 1위를 차지, 확고한 국민 생선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고등어는 수온 0~10도 맑은 물에서 살며 봄과 여름에는 수심이 얕은 곳, 겨울에는 깊은 곳으로 이동한다.

연합뉴스

국내 고등어 공급량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2017년 기준 국내 고등어 생산량은 11만5천913t이며 연근해산이 11만5천260t으로 99.4%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양식(203t)과 원양산(450t)이다.

국내 생산 고등어 가운데 1만6천653t은 외국에 수출했다.

노르웨이 등 외국에서 수입한 물량은 4만9천52t으로 수출보다 훨씬 많다.

수입 물량을 포함한 우리나라 고등어 소비량은 14만4천212t으로 1인당 2.8㎏을 소비한 셈이다.

최근 10년간 국내 고등어 생산량은 연평균 평균 13만5천t이다.

2008년에 19만1천573t으로 가장 많았고, 2010년에는 9만9천890t으로 가장 적었다.

나머지 해에는 11만5천여t에서 17만6천여t의 분포를 보였다.

2017년 기준 우리나라 고등어 생산량은 전 세계 생산량(679만7천704t)의 1.7%에 해당한다.

수입 고등어는 노르웨이산이 대부분으로 2017년의 경우 81.2%를 차지했다.

페루산 10.4%, 중국산 4.6%, 영국산 1.4% 등이 뒤를 이었다.

노르웨이산 비중은 2010년 29.2%에서 8년 만에 2.8배로 높아졌다.

연합뉴스

고등어 수입 추이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최근 10년간 고등어 마리당 평균 가격은 3천273원이었다.

이 기간 가격 변동이 거의 없는 보합세가 이어졌으며, 지난해 가격을 2009년과 비교하면 신선 냉장 고등어는 10.8% 내렸고, 냉동 고등어는 8.2% 올랐다.

국내 생산량의 60%는 산지 위판장에서 가공업체로 보내져 사료나 미끼용(30%), 가공품이나 집단급식용 식자재(26%) 등으로 사용된다.

소비자들이 전통시장, 대형 유통업체, 소매상에서 직접 구매하는 물량은 44%라고 해양수산개발원은 밝혔다.

연합뉴스

국내산과 노르웨이산 고등어 구별법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제공]



lyh9502@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