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일본 수출규제에도 신흥국 중 한국 증시 가장 인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달 들어 주요 신흥국 증시 중 글로벌 자금이 가장 많이 유입된 시장은 한국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의 수출규제 악재에도 신흥국 중 한국 증시가 가장 많은 인기를 끈 셈입니다.

오늘(22일)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이달 들어 19일까지 해외 투자자금이 사들인 한국 주식은 7억7천100만달러 규모에 달했습니다. 이는 조사 대상 10개 주요 신흥국 중 1위입니다.

한국 다음으로는 태국(6억4천100만달러), 인도네시아(2억4천100만달러), 베트남(7천600만달러), 필리핀(6천600만달러), 스리랑카(4천300만달러), 파키스탄(1천500만달러) 등 순으로 순매수액이 컸습니다.

또 인도는 8억3천500만달러의 순매도를 보였고 대만과 브라질도 각각 5억4천만달러, 4억4천800만달러어치의 매도 우위로 집계됐습니다. 대만 통계는 12일 기준입니다.

한국 증시에서는 이달 첫째주(3천500만달러), 둘째주(5억2천300만달러), 셋째주(2억1천300만달러) 모두 매수 우위를 보였습니다.

미중 무역전쟁 여파가 지속되고 일본의 수출규제 등 악재가 터졌지만 글로벌 자금의 국내 유입은 계속된 셈입니다.

특히 글로벌 자금의 유입은 코스피 시장에 집중됐습니다.

한국거래소 집계로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19일까지 코스피 시장에서 1조1천946조원어치를 순매수했습니다.

이 기간 15거래일 중 순매수를 기록한 날이 12거래일이었습니다.

특히 외국인 투자자는 반도체 종목을 대거 사들였는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각각 8천952억 원, 2천690억 원 순매수했습니다.

같은 기간 코스닥 시장에서는 외국인 투자자가 2천68억 원어치를 팔아치웠습니다.

결국 외국인 투자자는 이 기간 국내 증시에서 9천878억 원의 순매수를 나타냈습니다.

민병규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자금의 한국 증시 유입에 대해 "일본의 경제보복 같은 악재에도 이익 성장률 지표가 저점을 확인한 뒤 반등 중이고 원/달러 환율이 충분히 상승했다는 인식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고 진단했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지난해 말 달러당 1,115.7원에서 이달 19일 현재 1,174.5원으로 5.3% 올랐습니다.

그러나 일본의 추가 경제보복 조치 등에 대한 우려가 커 외국인의 매수세가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이달 들어 한국에 대한 반도체 핵심 소재 3개 품목의 수출 규제에 나선 데 이어 이달 말을 전후로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조치를 단행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 상황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