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7 (금)

[WT논평] Socialism rose from the grave (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lifford D. May (president of the Foundation for Defense of Democracies)

On the contrary, Mr. Sanders signed a letter of support for Hugo Chavez in 2003, and when the Venezuelan strongman died a decade later, Mr. Corbyn eulogized him “for showing that the poor matter and wealth can be shared.”

Mr. Muravchik brings to bear an unusual perspective because, “Socialism was the faith in which I was raised. It was my father’s faith and his father’s before him.”

Like many idealistic young people around the world then and now, he believed socialism could lead to “an end to exploitation; a new dawn of brotherhood; a different, kinder and more wholesome way of living.”

Mr. Muravchik conceptualizes socialism as “man’s most ambitious attempt to supplant religion with a doctrine about how life ought to be lived that claimed grounding in science rather than revelation.”

He sees the French Revolution of 1789 as the “manger in which socialism was born.” That culminated in the Reign of Terror and “the Napoleonic bloodbath.”

In the early 1800s, socialists were less revolutionary and more experimental, establishing small commun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England, “led or inspired by Robert Owen” and based on collective ownership. None lasted long.

A few years later, Karl Marx and Friedrich Engels produced what they claimed was a more scientific socialist doctrine, one that “provided an account of man’s history, an explanation of current sorrows and a vision of a redemptive future.”

When the international proletariat refused to conform to Marx’s prophesies, Vladimir Lenin came along to establish a “vanguard” to decide for workers and peasants what was in their best interest. The death toll ? due to executions, politically created famines, and the deprivations of the labor camps ? would soon be in the millions.

무덤에서 일어난 사회주의 (2)

클리퍼드 D 메이(민주수호재단 총재)

반대로 샌더스는 2003년 우고 차베스를 지지하는 편지에 서명했다. 그리고 베네수엘라의 독재자가 10년 후 죽었을 때 코빈은 차베스가 “가난 문제와 부가 공유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고 찬양했다.

“사회주의는 내가 그 속에서 성장한 신념이었고 나의 아버지와 할아버지의 신념이었기 때문에” 무라브칙의 관점은 남다르다.

당시와 현재 전 세계의 이상주의를 믿는 많은 청년들처럼 무라브칙은 사회주의가 “착취의 종식, 인류애의 새로운 새벽, 더 좋고 건전하며 지금과 다른 생활방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믿었다.

무라브칙은 “계시가 아니라 과학에 근거를 두었다고 주장한, 인간생활의 옳은 방법에 관한 원칙으로 종교를 대체하려는 인류의 가장 야심찬 시도”라고 사회주의의 개념을 규정한다.

그는 1789년의 프랑스혁명을 “사회주의가 탄생한 구유”로 본다. 이 사회주의는 공포정치와 “나폴레옹의 대규모 유혈숙청”에서 절정을 이루었다.

1800년대 초기에 덜 혁명적이었고 더 실험적이었던 사회주의자들은 “로버트 오언의 지도나 영감을 받아” 미국 및 영국에서 집단 소유에 바탕을 둔 소규모 공동체를 설립했다. 오래 지속된 것은 없었다.

몇 년 뒤 카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그들이 보다 과학적이라고 주장한 사회주의 원칙을 만들었다. 이 원칙은 “인류의 역사와 현재의 비참한 현실 및 구원의 미래 전망에 관한 설명을 제시했다.”

국제 프롤레타리아가 마르크스의 예언에 따르기를 거부했을 때 블라디미르 레닌이 등장하여 노동자들과 농부들을 대신하여 그들의 최선의 이익을 결정하는 ‘전위’를 창설했다. 처형과 정치적으로 조성된 기근 및 열악한 강제노동수용소로 인한 사망자 수는 오래지 않아 수백만명이 되었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eulogize:칭송하다 △bring to bear:행사하다 △manger:(아기 예수가 누웠던) 구유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