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직장생활 안 하는 여성, 노년에 뇌 노화 빨라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직장생활이 여성의 노년기 인지기능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학 보건대학원의 엘리자베스 마에다 역학 교수 연구팀이 1935~1956년 사이에 태어난 여성 6천여명을 대상으로 1995년에서 2016년까지 진행한 조사 분석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CNN 뉴스와 메디컬 익스프레스가 어제(22일) 보도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들에게 16~50세 사이에 직장에 다녔는지, 자녀가 있는지를 조사하고 50세 이후부터는 2년에 한 번씩 표준 인지기능 테스트를 시행했습니다.

그 결과 60세 이전에는 과거 직장생활을 한 여성이나 하지 않은 여성이나 인지기능 저하 속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60세 이후부터는 직장생활을 한 여성이 하지 않은 여성보다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체적으로 60~70세 사이에는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여성이 직장생활을 한 여성보다 기억력 저하 속도가 2배나 빨랐습니다.

직장생활 그룹에서는 결혼한 여성이나 독신 여성이나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비슷했으나,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기혼 여성은 직장생활을 한 기혼 여성보다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61% 빨랐습니다.

특히 오랜 기간 직장생활을 하지 않은 독신 여성은 직장생활을 한 기혼 여성보다 인지기능 저하 속도가 83% 빨랐습니다.

직장생활 경력이 있는 여성은 가정 사정으로 중간중간 직장생활이 끊겼어도 인지기능에는 별 영향이 없었습니다.

이는 직장생활에 의한 사회적 관계 형성과 인지기능 자극 등이 가져온 효과로 생각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습니다.

이 연구결과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열린 미국 알츠하이머병 학회 국제학술회의에서 발표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