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10명 중 6명은 10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체 환자 중 80%가 남성…1인당 평균진료비 71만4298원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이하 ADHD) 환자 10명 중 6명은 10대로 나타났다.

ADHD는 주의산만,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 증상으로 보이는 정신질환이며 대개 초기 아동기에 발병해 만성적인 경과를 밟는 특징이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ADHD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분석한 결과, 요양기관을 방문한 진료인원은 2013년 5만8132명에서 2015년 4만9263명으로 줄어들다 2016년 9월 건강보험 급여 혜택이 확대(기존 6~18세에만 적용되던 ADHD 급여 혜택이 65세 이하로 확대)됨에 따라 2017년에는 5만2994명으로 증가했다.

건강보험 진료비 역시 2013년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건강보험 급여 혜택 확대 이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최근 5년간 진료현황을 성별로 살펴보면 매년 남성 환자가 여성환자보다 4배 이상으로 나타났고, 남성의 진료비가 여성보다 4.5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연령대별 진료현황을 보면, 10-14세(1만8000명, 33.9%)에서 진료환자가 가장 많았고, 성별 현황에서도 각각 10-14세 남성(1만5000명, 35.2%), 10-14세 여성(3000명, 28.9%)으로 나타났다. 10만 명당 진료현황을 보면, 남녀 진료인원 모두 10~14세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성비는 5~9세에서 남성이 여성의 약 4.8배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연령대별 진료비 현황을 보면,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10~14세 환자가 145억70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15~19세(99억5000만원), 5~9세(85억6000만원)가 뒤를 이었다. 1인당 진료비를 살펴보면 환자 평균진료비는 71만4298원이었는데 15~19세 환자의 진료비가 81만5867원으로 연령구간 중 가장 높았다.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송정은 교수는 'ADHD는 역학조사를 보면 남:녀 비율이 2:1~4:1 정도로 남아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라며 '아직까지는 부모님들이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는 경우가 많아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ADHD 증상이 있더라도 크면 괜찮아 지겠지 하는 생각으로 진료를 받지 않다가,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 학습량이 많아지면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이 생기고, 또한 청소년으로 접어드는 시기에 학업 및 교우 관계 어려움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 이때 치료를 시작하거나, 아동기 때 치료를 시작했다 중단했던 경우에 10~14세에 치료를 다시 시작 하는 경우도 많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라고 설명했다.

또 진료인원은 10~14세에서 가장 많지만, 1인당 진료비는 15~19세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이유에 대해서는 '진료비의 어떤 항목이 높은지에 따라 해석이 다를 것이나 몸무게에 따라 약의 용량이 증량되므로 10~14세보다 15~19세에 고용량의 약물을 복용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1인당 진료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라고 덧붙였다.

2013년~2017년 건강보험 가입자 중'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진료인원 수는 10대(전체 환자 중 56.9%)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지만, 증감률을 살펴보면 20대 이상(전년대비 40.9% 증가)에서 높게 나타났다.

2017년 전년대비 증감률을 살펴보면, 25~29세에서 6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30세 이상(45.2%), 20~24세(29.6%)가 그 뒤를 이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쿠키뉴스 조민규 kioo@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