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샷을 하기 전 박인비의 체크 포인트는 무조건 그립입니다. 박인비는 “샷을 하기 전 ‘아, 내가 그립을 너무 강하게 잡고 있지는 않나, 거리 욕심이 그립에 나와 있는 것 같은데’ ”라는 질문을 늘 한다고 하네요.
두 번째는 ‘등각 유지’입니다. 어드레스 때부터 임팩트까지 등의 각도를 똑같이 유지해야 한다고 합니다. “백스윙까지는 많이 유지하지만 대부분 다운스윙 때 공을 세게 치려는 생각으로 등이 펴지거나 너무 굽혀진다. 등각이 변하면 임팩트 정확도가 떨어지고 미스샷이 나올 수밖에 없다”고 강조합니다. 등 각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축’이 잘 세워져야겠죠. 박인비는 허리 쪽의 큰 근육과 등 근육에 좀 더 집중하라고 합니다. 큰 근육에 집중하면 다른 작은 근육의 힘은 빠지고 부드럽게 스윙할 수 있다는 것이죠.
박인비의 마지막 레슨은 피니시 동작입니다. 그립과 마찬가지로 피니시 동작으로 스윙이 잘됐는지 안됐는지 알 수 있습니다. “피니시 동작에서 채를 너무 세게 잡고 있다면 그만큼 임팩트 때 공에 힘을 주지 못했다는 얘기다. 당연히 불편한 느낌이 들고 비거리도 잘 나지 않는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부분은 공감하시죠. 공이 잘 맞거나 편안하게 스윙을 하면 피니시 동작에서도 힘이 들어가지 않고 부드럽게 되죠. 구체적으로 박인비는 “클럽 헤드를 던진다는 느낌보다는 ‘어깨에 바로 걸친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 좋다. 피니시를 할 때 클럽을 간단하게 뒤로 넘긴다고 생각하면 좋은 스윙을 할 수 있다”고 설명합니다.
![]() |
던진다고 생각하면 주말골퍼들은 대부분 임팩트와 폴로스루까지 힘을 너무 많이 쓰고 그대로 피니시 동작을 만들기 때문에 임팩트 동작에서 폭발적으로 힘을 모을 수 없습니다.
프로골퍼들도 늘 기본에 충실합니다. 좋은 기본 위에서 좋은 샷이 나오니까요. 늘 ‘힘 빼라’는 말을 많이 듣죠. 그런데 프로골퍼들도 여전히 ‘힘 빼기’를 위해 엄청난 연습을 하고 노력을 합니다. “필요한 부분에만 힘을 쓰고 나머지는 부드럽게 만들어야 18홀 동안 일관된 리듬으로 힘을 덜 들이고 라운드를 할 수 있다. 당연히 스코어도 샷도 좋아진다”고 하네요.
그립을 평소보다 조금 약하고 편안하게 잡으며, 스윙을 할 때 등 근육에 집중해 각도를 유지하고, 어깨 뒤로 넘기듯 편안한 피니시. 연습장서 ‘체크 포인트’를 만들고 연습해보세요.
[조효성 매일경제 기자 hscho@mk.co.kr]
[본 기사는 매경이코노미 제2018호 (2019.07.24~2019.07.30일자) 기사입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