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남북관계와 한반도 정세

북한 “남한, 한미연합연습 중단ㆍ해명 전에 접촉 어려울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6일 신형전술유도탄 발사를 참관했다며 7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사진.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북한은 한미 연합지휘소훈련 첫날인 11일 남측을 비난하는 외무성 국장 명의 담화를 내고 한미훈련을 즉각 중단하거나 이에 관한 해명을 하기 전에는 접촉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권정근 북한 외무성 미국담당국장은 이날 담화에서 “군사연습을 아예 걷어치우든지, 군사연습을 한 데 대하여 하다못해 그럴싸한 변명이나 해명이라도 성의껏 하기 전에는 북남 사이의 접촉 자체가 어렵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그러면서 “남조선 당국이 군사연습의 이름이나 바꾼다고 이번 고비를 무난히 넘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대단히 잘못 짚었다”고 지적했다. 전날 우리 합동참모본부가 11일부터 시작하는 한미 연합연습을 양국 동맹을 강조한 ’19-2 동맹’ 대신 ‘후반기 한미연합지휘소훈련’으로 부르기로 결정한 점을 두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낸 것이다.

담화에서 권 국장은 자신들의 잇단 무력시위에 대해 “미국 대통령까지 우리의 상용무기개발시험을 어느 나라나 다 하는 아주 작은 미사일 시험이라고 하면서 사실상 주권국가로서의 우리의 자위권을 인정하였는데 도대체 남조선당국이 뭐길래 우리의 자위적 무력건설사업에 대해 군사적 긴장격화니, 중단촉구니 뭐니 하며 횡설수설하고 있는가”라고 주장했다. 정경두 국방장관의 실명도 거론하며 “체면이라도 좀 세워보려고 허튼 망발을 늘어놓는다면 기름으로 붙는 불을 꺼보려는 어리석은 행위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앞으로 대화에로 향한 좋은 기류가 생겨 우리가 대화에 나간다고 해도 철저히 이러한 대화는 조미(북미) 사이에 열리는 것이지 북남대화는 아니라는 것을 똑바로 알아두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도 했다.

북한의 이번 담화는 자신들의 무력시위가 미국이 그은 ‘선’을 넘지 않았다는 점을 우회적으로 피력하는 동시에 대남 압박을 이어가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북측이 미국을 위협하는 중장거리 이상 탄도미사일이 아닌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기 때문에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내비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10일(현지시간)에도 트위터를 통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자신에게 보낸 친서에서 한미연합 군사훈련이 종료되는 대로 협상 재개를 원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공개했다. 반면 청와대는 같은날 북한이 동해상으로 미상의 발사체 2발을 발사한 것과 관련해 긴급 관계장관 화상회의를 열고 “(관계장관들은) 북한의 연이은 발사가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중단할 것을 촉구했다”고 밝혔다.

김정원 기자 gardenk@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