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30 (화)

정부, 中 하이난 징용한인 유해 송환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놓고 한일 갈등이 첨예한 가운데 정부가 일제강점기 당시 중국 하이난섬에 끌려가 강제노역하다가 숨진 100여 위의 조선인 유골을 국내로 송환할 계획이다. 하이난섬은 일제가 1945년 8월 15일 패망한 이후에도 조선인을 학살한 곳으로 알려진 곳으로 1200구의 유골이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유해가 국내로 송환될 경우 강제징용을 인정하지 않는 일본의 주장이 더욱 설득력을 잃을 전망이다.

11일 행정안전부 과거사관련업무지원단은 "하이난 지역 강제징용 피해신고 유족들과 발굴유해의 유전자 감식을 통해 강제징용 여부를 확인한 후 이를 국내로 봉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행안부는 올해 안에 중국 정부와 유해 국내 봉환 등을 논의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추진할 계획이다. 학계에 따르면 중국 하이난섬에 끌려간 한인 징용자는 2000여 명에 달한다. 일제는 1939년 하이난섬을 점령한 뒤 해당 지역을 요새를 만들고 군사기지화하는 과정에서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한반도 전역에 수감된 죄수들을 동원했다. 일제는 이들에게 '6개월만 참여하면 잔여형기를 모두 면제해주겠다'고 꼬드겨 하이난으로 데려왔다. 1943년부터 조선 전체 수형자의 10% 정도가 하이난섬으로 보내졌다. 이들 중에는 일제에 맞서다 잡힌 사상범도 상당수 포함됐을 것이란 게 연구자들의 추정이다.

이들 중 절반 정도가 일본군의 강제노역에 지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생존한 조선인들도 일본군이 1945년 해방 이후 하이난섬을 떠나기 전에 대거 학살했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된다. 이곳이 천인갱(天人坑·1000명이 묻힌 구덩이)이라 불리는 이유다.

정부는 천인갱 피해자 유족 신고 129건 중 사망·행방불명 62건의 유전자 검색을 진행 중이다. 행안부에 따르면 1995년 하이난에서 망고농장을 운영하는 한 한국 기업이 처음 강제 징용 유골을 수습한 이후 작업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까지 국내 민간단체인 하이난천인갱희생자추모회가 천인갱 인근 집단 매장 추정지 500여 평을 20년 넘게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5년간 토지 사용료를 내지 못해 현장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최근 하이난섬에 부동산개발 바람이 불면서 현장 훼손이 심해 향후 유해봉환 작업은 난관이 예상된다. 정부가 일제 강제동원 희생자 유해 봉환을 추진하는 장소는 하이난이 네 번째다. 러시아 사할린에선 지난해까지 총 80위가 국내로 봉환됐고 태평양전쟁 격전지인 타라와섬은 현재 한미 공동감식 작업이 진행 중이다.

[나현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