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칼럼 - 김진석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교수
김진석 세브란스병원 혈액내과 교수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질환의 특징은 대부분 65세 이상에서 주로 발생한다는 점이다. 환자 수가 적고 환자 대부분이 고령이라는 질병 특성 때문에 다른 백혈병에 비해 오랫동안 인지도나 관심도 측면에서 소외돼 왔다. 또 다른 특징은 지속해서 재발이 반복된다는 것이다. 반복적 재발을 치료하기 위해 다양한 치료 약제가 필수적이다. 치료 실패 이후 다음 치료제로 쓸 수 있는 약제가 승인된 환경이 중요하다.
국내 치료 환경은 아직 개선돼야 할 점이 많다. 미국·유럽의 경우 오래전부터 신약 도입으로 치료 기회를 보장해 왔으나 국내에서는 2010년 이후에야 신약이 도입되고 건강보험 적용이 진행됐다. 2018년에는 2차 치료 이상에서 B세포 수용체 경로 저해제인 경구용 표적치료제에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재발해도 치료 기회를 이어나갈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이 약을 통한 치료에 실패하거나 부작용이 생겨 치료를 지속할 수 없는 환자들이 지속해서 생기고 있다. 새로운 기전의 후속 치료제가 필요한 상황이다.
다행히 최근 국내에도 기존 화학면역요법이나 B세포 수용체 경로 저해제에 반응이 없거나 이미 두 번 재발한 환자에게 쓸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약제 사용을 허가받았다. 해외에서는 독성이 낮고 우수한 효능을 보이는 해당 신약을 이미 널리 사용하고 있다.
국내 만성림프구성백혈병 환자도 신약으로 치료받을 수 있도록 환경이 개선돼야 한다. 이번 신약의 빠른 건강보험 적용에 대해 의료진이나 환자들의 기대가 매우 크다. 기대여명이 2년 이하일 정도로 심각한 질환이라는 점에서 두 번 이상 재발한 환자에서 3차 치료 이상의 약제로 사용될 이번 치료제에 대한 보험 급여 승인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희귀 질환에 사용되는 약제고, 추가로 3차 이상의 단계에서 사용하므로 정부가 부담해야 할 사회·경제적 비용 또한 크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의료진 입장에서 비용적인 문제로 환자에게 적절한 치료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게 되거나 환자가 치료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치료를 중단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기를 희망한다.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