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서울광장서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평화행진' 열려
민주노총은 광화문광장서 아베 규탄 집회…한쪽선 '태극기 연합 집회'도
빗속의 일제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대회 |
(서울=연합뉴스) 전명훈 김수현 김예나 기자 = "우리가 역사의 증인이다, 강제동원 사죄하라", "피해자와 손잡고 끝까지 싸우자"
겨레하나, 민족문제연구소 등 10여개 단체로 구성된 '강제동원 문제해결과 대일과거청산을 위한 공동행동'은 광복절인 15일 오전 서울광장에서 '광복 74주년 일제 강제동원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대회'를 열었다.
세찬 비가 내리는 궂은 날씨 속에도 광장을 가득 메운 2천여명(주최 측 추산)은 강제동원 피해 문제를 해결하고 올바른 역사를 세우는 일에 시민들이 함께 나서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강제징용 피해자이자 전범기업 일본제철을 상대로 피해 배상 판결을 받아낸 이춘식(95) 할아버지는 "할 말은 많으나 목이 메 여기서 말을 다 못 드린다. 미안하다"며 학생들과 시민들을 향해 "대단히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
또 다른 피해자인 양금덕(90) 할머니는 일본에서 겪은 고초를 이야기하며 "일본 강점기에는 우리가 당했지만, 이제 강한 나라가 됐으니 여러분이 한 몸 한뜻이 되어 아베 말 듣지 말고 일본을 규탄하자"고 외쳤다.
이날 참석한 한·일 시민사회 관계자들은 일본 정부가 한국을 상대로 잇단 경제 보복 조처를 내놓으면서 양국 관계가 악화했지만, 이럴 때일수록 손을 맞잡고 힘을 합치자고 다짐했다.
북측도 연대 입장을 밝혔다. 북측 민족화해협의회는 연대사에서 "8·15 시민대회가 천년 숙적 일본의 파렴치한 재침야망을 저지하기 위한 겨레의 단호한 의지를 보여주는 계기가 되리라 확신한다"며 격려 인사를 보냈다.
우비를 입은 이들은 '아베는 사죄하라', '강제동원 배상하라' 등의 구호가 적힌 만장 100여개와 피해자들의 영정 사진, '평화의 비둘기' 풍선을 든 채 주한일본대사관까지 행진했다.
'미일 제국주의 아시아 침략과 지배에 반대하는 아시아공동행동'(AWC) 일본연락회의와 AWC 한국위원회는 이날 광화문광장에서 '아베 정권의 제국주의 경제 전쟁 규탄과 한일 노동자·민중연대 선언 한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정부는 한국의 강제징용 피해자 재판 대법원 판결을 존중하고 식민지 지배의 가해 역사를 인정해 피해자에게 사죄와 배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한국이 한일청구권 협정을 위반하고 국제조약을 어겼다는 엉터리 발언을 하고 있다"며 "아베 정권은 한국에 대한 수출 규제를 즉시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8·15 전국 노동자 대회 |
민주노총 소속 조합원 5천여명도 빗속의 광화문광장에 모여 '전국 노동자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한반도 평화의 결의를 다지면서 일본 아베 정권의 역사 왜곡, 군국주의 정책 등을 규탄했다.
행사 무대에서는 강점기 일제의 만행과 조국의 광복, 뒤이은 6·25전쟁 등 한국 현대사의 비극과 희망을 담은 뮤지컬이 빗속에서 공연돼 큰 박수를 받기도 했다.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한반도의 평화와 자주통일의 기운이 북미 간·남북 간 전진을 멈추고 교착상태에 빠져 있다"며 "일본 아베 정권은 과거의 전쟁범죄를 사죄하기는커녕 은폐하고 경제 침략에만 골몰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민족의 운명은 우리 스스로 결정한다는 민족 자주의 원칙을 다시 굳게 세워나가자"며 "전 세계 앞에 약속한 판문점선언, 평양공동선언을 실천하고 일본의 역사 왜곡, 경제 침략, 평화 위협에 맞서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의 전면 파기를 이뤄내자"고 강조했다.
한편 우리공화당과 천만인무죄석방본부, 태극기혁명국민운동본부, 일파만파는 이날 오후 서울광장에서 '8·15 태극기 연합 집회'를 열었다.
주최 측 추산 10만명이 모인 집회에서 참가자들은 "일부 정치 세력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끌어내렸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은 무효"라고 주장했다.
yes@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