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05 (화)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것은 우리 역사를 지키고 바로 세우는 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은주 부산겨레하나 공동대표 인터뷰

"위안부 문제 해결의지 소녀상 중심으로 모여"

뉴스1

지은주 부산겨레하나 공동대표가 14일 오전 부산 부산진구 범천동 우리겨레하나되기부산운동본부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2019.8.15 /뉴스1 © News1 여주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스1) 박기범 기자 =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것은 우리 역사를 지키고, 기억하고 바로 세우는 일입니다."

부산겨레하나 공동대표이자, 소녀상을 지키는 부산시민행동 대표인 지은주 대표는 평화의 소녀상을 지켜야 하는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평화의 소녀상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피해를 상징하는 상징물이다. 2011년 12월14일 민간단체 정대협이 중심이 돼 서울 종로구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 처음 설치한 것을 시작으로 국내외로 확산됐다.

부산 일본영사관 앞에도 소녀상이 자리하고 있다. 지난 2015년 12월28일 체결된 한일위안부합의를 규탄하기 위해 1년 뒤인 2016년 12월28일 설치됐다. 시민들의 자발적 모금활동을 통해 '시민의 힘'으로 세워졌다.

지 대표는 "한일위안부합의를 무효화시켜야 한다는 국민들의 열망, 위안부 문제를 정의롭게 해결하겠다는 촛불이 응집된 것"이라고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의 의미를 설명했다.

소녀상은 일부 그릇된 인식을 가진 이들로부터 수난을 겪고 있다. 지난1월 대구에서 소녀상 이마에 검정색 매직으로 낙서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지난달에는 안산에서 소녀상에 침을 뱉고, 소녀상을 향해 엉덩이를 흔드는 등 조롱한 남성이 적발되기도 했다.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도 고초를 겪었다. 부산 동구청은 '불법조형물'이라며 소녀상을 철거했다. 시민들의 힘으로 이틀만인 30일 다시 세워졌지만, 소녀상 주변에 일부 시민들이 쓰레기를 투척하면서 소녀상을 위협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시민들이 직접 ‘소녀상 지킴이’를 자처했고, 실제 100여명의 시민들은 소녀상 주변에 상주하며 소녀상을 지켰다. 소녀상을 보러 온 사람들에게 소녀상의 의미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 등을 설명하며 소녀상의 의미를 알리기도 했다.

지 대표는 당시를 두고 "에티오피아, 뉴질랜드 등 많은 곳에서 사람들이 찾아왔을 만큼 소녀상을 지키겠다는 열망이 뜨거웠다"고 회상했다.

뉴스1

위안부 기림의 날인 지난 14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인근에서 열린 '세계 일본군 위안부 기림일 기념 부산 44차 수요시위' 참가자들이 소녀상 옆에서 '일본은 사죄하라' 피켓을 들고 있다. 2019.8.14/뉴스1 © News1 여주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소녀상을 지키는 게 왜 중요할까.

이에 대해 지 대표는 "위안부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국민들의 의지가 소녀상을 중심으로 모인다"라며 "평화의 소녀상을 지키는 것은 우리 역사를 지키고, 기억하고 바로 세우는 일이다. 소녀상을 설치하는 것보다 지키는 게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부의 일탈행위 역시 시민들의 의견이 강하게 모일 때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한일위안부합의 등 정부의 잘못된 정책도 바로 잡을 수 있다는 게 지 대표의 설명이다.

소녀상의 의미는 단순히 '위안부' 등 일제강점기와 일본 전쟁범죄 문제에 머물지 않는다. 인류 보편의 인권과 평화를 상징하는 기념물로 그 역할을 하고 있다.

소녀상을 지키는 게 위안부 문제를 넘어 역사를 바로 잡는 일이 될 수 있다는 설명도 이어졌다.

지 대표는 "일본은 조선을 강점하고 수탈했다. 2차 세계대전 후 도쿄 전범재판, 샌프란시스코 조약 등 침략전쟁 재판이 있었지만, 일본은 이에 대해 정확하게 사죄하거나 배상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범국가로 반성해야 할 나라가 자신들의 침략전쟁에 대해 단 한 번도 제대로 된 사과를 하지 않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것이 일본이 군국주의를 다시 꿈꾸게 된 근원이 됐다"며 소녀상을 통해 일본의 과거 잘못을 제대로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1

2017년 1월26일 설 연휴를 하루 앞두고 한 어린이가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앞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의 손을 잡고 있다. 2017.1.26/뉴스1 © News1 여주연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 대표는 대법원의 강제징용노동자 배상 판결 이후 일본의 경제보복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당시 한반도에서 강제노동에 끌려간 사람 수만 800만에 달하는데 살아계신 분은 거의 없고, 유가족 일부만 남아있는 상황"이라며 "지난 대법원 판결은 과거 아픔을 기억하고, 잘못된 역사적 사실이 처음으로 인정된 것이다. 피해자 입장에선 ‘한’을 푼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전쟁범죄를 인정하고, 사죄하고, 배상하고, 강제노동자들의 한을 풀어줘야 한다"며 일본정부의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지 대표는 일본 아베정부의 경제보복에 일본상품 불매운동으로 대응하고 있는 국민들 모습에 대해 "지금까지 우리가 소녀상을 세우고, 강제징용노동자상을 세웠던 모든 활동이 응축돼 나오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또 "과거 역사를 바로잡기 위한 국민들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고. 우리의 단합된 힘이 과거를 바로 잡고, 새로운 역사를 만드는 힘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pkb@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