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이슈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상륙

“잔반급여 전면 금지 없이 아프리카돼지열병 막을 수 없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정향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 돈육 가공품 불법 유입 차단 강조



경향신문

서정향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정향 건국대 수의학과 교수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 가축전염병 연구의 세계적 권위자다. 현재 미국 네브래스카대 초청으로 3개월간 미국 체류 중이다. 서 교수에게 지난 7월 25일부터 시행된 잔반(음식물쓰레기) 자가급여 전면금지조치의 효과, 한국에서 ASF 발병 가능성 등을 물었다. 인터뷰는 서면으로 진행됐다.

-주변국 발병 등을 이유로 지난 7월 25일부터 잔반 자가급여가 전면금지됐다. 확인해보니 그동안 잔반 92%가 건조비료, 습식사료, 퇴비화, 바이오가스화, 가축농가 자가급여 등으로 재활용돼왔다. 자가급여 이외에 습식사료로 만들어 공급되는 것도 문제가 될 수 있나.

“습식사료든 건조사료든 반드시 사료관리 법령기준에 따라 ‘80도에서 30분’ 가열 후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열처리 여부에 대한 검증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 우선 시급한 것은 시료를 수거해 유전자 검사를 통해 ASF 검출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만약 잔반에 ASF로 오염된 돼지가공품이 들어간다면 반드시 감염될 가능성이 높다. 건조 및 냉장·냉동식품이 ASF로 오염되었다면 바이러스가 수개월 이상 생존할 가능성이 높다. 전세계적으로 감염사례를 보면 불법 음식물 반입에 의한 감염이 대부분이다.”

-살처분해 매립한 경우도 바이러스가 생존할 가능성이 있나.

“그렇다. 모든 법정전염병의 경우 살처분 후 매몰이 확산방지책이다. 태워서 화장하는 등 가열처리를 하면 더 확실하다. 매몰한 후 바이러스 질병 전파는 막을 수 있어 근절은 할 수 있지만 수질 등 환경오염 우려가 생긴다. 어쨌든 매몰 후 수년이 지나 완전히 부패하면 바이러스가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ASF가 재발할 가능성은 0%에 가깝다. 다만 충분히 부패되지 않은 상태에서 끄집어낸다면 바이러스 생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음식물자원화협회 등의 주장을 들어보면 소속 농가들은 ‘80도에서 30분 가열’ 규정을 준수하고 있다고 한다. 끓이면 바이러스가 다 사멸해 문제될 것이 없는데, 잔반 급여 자체를 문제삼아 없애려 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규정을 준수해 끓이면 바이러스가 사멸한다는 것은 맞다. 문제는 잔반을 먹이는 농가 모두가 규정을 준수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백신도 없는 ASF가 창궐하면 모든 양돈농가가 패망하게 된다. 원천차단이 필요하다. 내 생각으로는 ‘잔반 급여 전면금지’ 정책이 최선이다.”

-왜 잔반 급여만 문제삼느냐, 비료나 퇴비 만드는 것도 문제삼아야 하지 않느냐는 항변도 있다.

“잔반퇴비 등은 충분한 가열-발효과정을 통해 감염 가능한 바이러스가 사멸된 것으로 간주해 부분적으로 허락했을 가능성이 높다.”

-중국, 베트남, 몽골 등 지난해와 올해 주변국 발병사례를 보면 ASF 유입을 막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어떻게 전망하나.

“전세계적 발병사례를 참고하면 한국에서의 ASF 발병 가능성은 야생멧돼지에 의한 전파보다 불법 돈육 가공품에 의한 전파 가능성이 높다. 공항과 항만에서 철저한 검역, 잔반 급여 금지가 일차적으로 가장 중요하다. 이 부분만 철저히 지켜진다면 발병 가능성은 낮다. 야생멧돼지에 의한 전파는 북한 지역과 비무장지대(DMZ)를 통과해야 한다. 2개의 완충지대가 있어 완전 배제는 어렵지만 그나마 발병 리스크는 낮다고 할 수 있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최신 뉴스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