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청년 음악가 키우는 ‘오픈창동’은 음악 생산·유통·소비 하모니 서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7년 운영 청년일자리 플랫폼서
350명 음악가들 100곡 공동 제작
區, 공공스튜디오 104개 추가 계획
이 구청장 “청년주택 필요하면 지원”
서울신문

이동진(가운데) 도봉구청장이 지난 9일 창동역 인근에 위치한 ‘오픈창동’ 스튜디오에서 ‘송캠프’ 청년음악가들과 만나 이들의 작업 활동을 둘러보며 이야기를 하고 있다.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송캠프’(song camp)에 참여해 작곡했던 분들이 앨범을 준비 중입니다. 그것만으로도 큰 성과라고 할 수 있죠.”

지난 9일 서울 도봉구 창동역 1번 출구 바로 옆 3분 거리에 위치한 ‘오픈창동’ 스튜디오. ‘오픈창동’의 창작지원팀을 이끌고 있는 청년음악가 고대성(27)씨가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이렇게 말했다. 이동진 도봉구청장이 청년음악가와 가진 간담회 자리에서다. 이 구청장은 “창작물이 성과를 가져온다면 대단한 일”이라고 추어올렸다.

오픈창동 스튜디오는 2017년 12월부터 청년음악가를 육성하기 위해 구에서 운영하고 있는 청년일자리 플랫폼이다. 구는 2017년 서울시 일자리창출사업 공모에 선정돼 사업 예산 14억 3700만원을 확보했다. 초기에는 창동역 1번 출구의 컨테이너건물 공연장인 ‘플랫폼창동61’을 빌려 운영하다가 지난해 10월 ‘플랫폼창동61’ 하부 주차장에 전용공간인 오픈창동 스튜디오를 조성했다. 2018년에는 25명, 올해는 13명의 음악가가 운영자로 참여하고 있다. 스튜디오 운영, 작곡, 공연이 모두 가능한 올라운드 뮤지션으로 채워졌고 지난 6월 말에는 이 중 6명이 모여 ‘뮤직홀린 창작자 협동조합’을 만들기도 했다.

이들이 운영하는 ‘송캠프’는 청년음악가들이 일정 기간 오픈창동에 모여 공동작업을 통해 곡을 만들어 내는 프로그램이다. 올해 총 20여회에 걸쳐 350명의 음악가들이 송캠프에 참여해 100여곡을 제작했다. 이렇게 제작된 곡은 분기별로 ‘네트워킹 파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음악 관계자들에게 홍보된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 구청장은 “청년 일자리 사업이 끝나더라도 여러분들이 계속 구에 거주해 줬으면 좋겠다”면서 “청년주택 등이 필요하다면 구에서 적극 지원하겠다”고 제안했다. 고씨를 비롯한 청년음악가들도 “감사하다”면서 “창작물이 브랜드와 연계해 유통까지 될 수 있다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이처럼 구가 청년음악가 육성에 공을 들이는 배경에는 창동 아레나 공연장의 건립 시기(2024년 예정)에 맞춰 음악의 생산·유통·소비가 동시에 일어나는 복합적인 음악도시를 만들겠다는 이 구청장의 의지가 반영됐다. 구는 오는 9월에 착공하는 문화산업단지 내에 104개의 공공스튜디오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이 구청장은 “처음에는 보컬, 기타연주자 등 실연자 중심으로 접근했는데 공연 소비만으로는 음악도시를 만들기 어렵다”면서 “청년음악가들을 육성해 생산과 유통이 소비와 함께 이뤄지는 진정한 의미의 복합적인 음악도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황비웅 기자 stylist@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