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살모넬라 식중독 8∼9월에 75% 발생…계란·알 가공품 관리주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식약처, 살모넬라 식중독 주의 당부…"손씻기·익혀먹기·끓여먹기"

(서울=연합뉴스) 서한기 기자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일 여름철 낮 최고온도가 30℃ 이상 지속하는 기간에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식약처에 따르면 살모넬라 식중독 환자는 최근 5년간(2014∼2018년) 평균 75%가 기온이 높은 여름철(8∼9월)에 발생했다.

연합뉴스

최근 5년(2014~2018년) 누적 월별 '살모넬라' 발생 건수 및 환자 현황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주요 원인 식품은 계란과 알 가공품, 김밥류 등 조리 식품, 육류 등으로 조사됐다.

살모넬라는 식중독 원인균으로 오염된 계란, 쇠고기, 가금육, 우유가 주요 원인이다.

주로 복통, 설사, 구토, 발열 등 위장장애를 일으킨다.

식약처는 여름철에 많이 발생하는 살모넬라 식중독을 예방하려면 계란, 가금류, 육류 등을 조리할 때 중심온도가 살균온도 이상(75℃, 1분 이상)이 되도록 충분히 가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살모넬라균이 열에 약하기 때문이다.

특히, 뼈는 근육과 달리 열전도도가 낮기에 갈비찜, 삼계탕 같이 뼈에 붙은 고기를 익힐 때는 더 오랫동안 가열, 조리해야 한다.

계란과 알 가공품 등은 살모넬라 식중독 발생 우려가 크기에 취급과 보관에 더 주의해야 한다.

계란 등 난류를 살 때는 균열이 없고 냉장 보관되는 것을 사고 산란 일자를 꼼꼼히 확인 후 구매해야 한다.

구매한 계란은 냉장고에 넣어 보관하고 2∼4주 이내에 소비해야 한다.

계란을 만진 후에는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손을 깨끗하게 씻어야 한다.

식약처는 무엇보다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 등 식중독 3대 예방요령을 항상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살모넬라 식중독 예방 관련 영상자료는 식품안전나라(www.foodsafetykorea.go.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연합뉴스

최근 5년(2014~2018년) 누적 원인식품별 '살모넬라' 발생 건수 및 환자 현황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shg@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