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주한 美 대사관이 전경련을 파트너로 택한 이유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0년 역사의 한미재계회의 등 전통적 협력관계 유지

해리스 대사, 제주포럼 불참도 영향

해리스 대사 “한일 무역갈등 해소 위해 양국 기업인 노력 필요”

[이데일리 박철근 기자] 해리 해리스 주한미국대사가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를 통해 국내 주요기업 임원진과 비공개 조찬간담회를 개최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이날 간담회가 주한미대사관측에서 먼저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경련이 재계를 대표하는 단체로 다시 자리매김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해리스 대사는 이날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에서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을 포함한 10여개 기업의 임원진과 비공개 조찬간담회를 개최했다. 특히 국정농단 사태 이후 전경련을 탈퇴한 4대 그룹이 모두 참석하면서 전경련의 위상회복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해리스 대사는 최근 심화하고 있는 한일 양국의 무역갈등에 대한 입장을 전하고 양국 갈등해결을 위해 민간차원의 활발한 교류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한 재계 고위 관계자는 “(해리스 대사는) 한일 무역갈등의 해결은 한미일 안보동맹을 유지하는 차원에서도 중요하다고 말했다”며 “기업 차원에서 한일 기업인들끼리 교류를 활발히 해 사태해결에 기여해달라고 촉구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한일 무역갈등과 관련해 미국 정부의 공식적인 입장을 전달하는 자리는 아니었다”면서도 “최근 한일 무역갈등이 원만히 해결되기 바란다는 입장을 전했다”고 말했다.

특히 현 정부 들어 전경련 패싱현상이 두드러진 가운데 주한 미대사관이 전경련을 재계와의 소통채널로 선택한 것에 대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경련 고위 관계자는 “미국측과 한국 기업과의 협력창구는 그동안 전경련이 관장하는 한미재계회의를 통해 이뤄지는 등 주한미대사관측과는 전통적으로 협업관계가 돈독하다”고 설명했다.

한미재계회의는 1988년 이후 민간 차원 최고 경제협력 논의기구로 자리 잡아왔다. 지난 4월 별세한 고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이 최근까지 한미재계회의 희장을 맡아왔으며 올해까지 30차 회의가 열렸다.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달 제주도에서 열린 하계 제주포럼에 해리스 대사가 기상악화로 참석하지 못했다”며 “이 점도 이번 국내 재계인사와의 만남을 요청한 것과 관계가 있다”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