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한투증권 "DLS 손실로 여전채 약세…오래가진 않을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DLS·DLF 등 금리파생상품 손실 (PG)
[정연주 제작]일러스트



(서울=연합뉴스) 임미나 기자 = 한국투자증권은 22일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상품(DLS·DLF)의 손실 우려에 따른 여신전문금융회사채권(여전채) 약세가 일시적인 현상일 것으로 전망했다.

김기명 연구원은 "해외금리 연계 DLS 손실 발생 전망으로 DLS 담보자산으로 주로 편입되는 여전채 수급 악화가 우려되면서 여전채 약세가 두드러진 상태"라며 "그러나 최근 여전채 약세의 주된 원인이 DLS 관련 매도 물량에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여전채 스프레드 확대는 DLS와 관련한 수급 악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았다기보다는 그간 타 크레딧 섹터 대비 강세 기조가 두드러진 데 따른 가격 부담이 커진 상태에서 DLS 손실 발생이 여전채 투자심리를 약화하는 트리거로 작동한 데 주원인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금융감독원 발표에 따르면 실제 만기가 9~11월에 돌아와 담보자산 매도를 통한 현금 확보가 필요한 독일 국채 연계 DLS·DLF 판매 잔액은 1천266억원에 불과하다"며 "판매 잔액이 6천958억원에 달하는 영국·미국 이자율스와프(CMS) 금리 연계 DLS·DLF는 만기가 내년에 집중돼 담보자산 매도가 당장 나올 이유가 없는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투자심리가 불안정해 악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크레딧 채권시장 여건상 여전채 약세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그러나 최근 여전채 유통시장은 약세국면이 어느 정도 진정되는 모습을 보여 약세가 오래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최근 여전사의 펀더멘털은 일반 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라며 "여전채 금리가 동일 등급 회사채 대비 어느 정도 높은 수준으로 올라오면 재차 투자심리 회복과 함께 강세 기조를 보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mina@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