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日신문 "한일 대립, 대북공조 장애 돼선 안 돼…출구 찾아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親아베 산케이는 대결구도 강조 여전…"국제사회 여론전 강화" 주문

연합뉴스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22일 일본 주요 일간지 1면에 전날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 소식이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 2019.8.22 sewonlee@yna.co.kr (끝)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일본 언론은 한일 관계가 악화한 가운데 열린 양국 외교장관 회담이 눈에 띄는 성과를 내지 못했다고 평가하면서도 대립 국면 극복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의견을 22일 밝혔다.

일본에서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요미우리(讀賣)신문은 한국과 일본 간의 대화는 부활했다면서도 "양국이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한 해결책은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요미우리는 사설에서 "북한이 핵과 탄도미사일을 포기하게 하려면 미국과 일중한(日中韓) 3국의 연대가 불가결하다"며 "일한의 대립이 장애가 되는 사태를 피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다만 일본 기업이 한국인 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한국 대법원의 판결이 한일 청구권 협정과 경제협력 협정에 "반한다는 것은 명백하다"며 한국 정부가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는 한 일본과의 신뢰 관계를 되돌리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도쿄(東京)신문은 한일 외교장관 회담이 "서로 주장을 맞부딪치기만 하고 끝났다"면서도 "이 이상 대립을 오래 끌면 쌍방의 국민감정에 상처를 입히고 경제적인 손실로도 이어지고 만다"며 관계 회복을 위한 노력을 촉구하는 사설을 실었다.

이 신문은 "한국의 약점을 찌르는 것처럼 실시한 일본 정부의 방식은 문제가 많다. 다만 한국 측의 최근 대응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다"며 양국의 대응을 모두 비판한 뒤 "협의를 거듭해 수습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일본 주요 일간지 가운데 역사 문제에 관해 한국과 가장 대립하는 시각을 유지하며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에 우호적인 산케이(産經)신문은 여전히 대결 구도를 강조했다.

이 신문은 논설위원의 기명 시평에서 "수출 관리의 문제를 시정하는 것의 정당성을 국제사회에 호소해 제3국을 우리 편으로 끌어들여야 한다. 위안부나 '징용공' 문제의 실패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며 국제사회를 겨냥한 여론전 강화를 주문했다.

sewonle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