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新한일전쟁] 韓 웃고, 日 울고…희비 엇갈린 韓日관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월 방일 한국인 전년보다 7.6% 줄어

여름 성수기에도 일본 안가

반면, 방한 일본인은 19.2% 늘어

日 젋은층, 정치 이슈 민감하지 않아

이데일리

일본 불매 운동 포스터.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이데일리 강경록 기자]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시작된 한일 갈등으로 양국 관광시장의 희비가 엇갈렸다. 일본여행 보이콧 영향으로 방일 한국인 여행객은 큰 폭으로 줄어든 반면, K팝·K뷰티 등 신한류를 타고 한국을 찾은 일본인 관광객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22일 일본정부관광국(JNTO)이 발표한 7월 외국인 방문객 통계에 따르면 방일 한국인 관광객 수는 56만17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7.6% 감소했다. 이는 올해 들어 일본을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 수로는 최저치다. 1월에는 77만9383명, 2월에는 71만5804명, 3월에는 58만5586명, 4월에는 56만6624명, 5월에는 60만3400명, 6월에는 61만1900명의 한국인이 일본을 방문했다. 특히 지난달 본격적인 여름휴가 성수기가 시작된 것을 고려하면, 일본을 여행한 한국인 관광객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추세는 지난달 일본의 경제보복 조처 이후 ‘일본 여행 보이콧’ 움직임이 계속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풀이된다.

배를 타고 일본으로 여행을 가는 한국인 관광객 수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이 21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일본의 수출규제가 시작된 지난달 1일부터 18일까지 부산을 기종점으로 하는 한~일 항로 국제여객선 승객수는 10만1380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0만3250여명)에 견줘 절반으로 줄었다. 부산항만공사가 7월 승객수를 주간 단위로 분석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승객감소율은 7월 첫째 주 27.2%, 둘째 주 35%, 셋째 주 53.2%, 넷째 주 41.8%, 다섯째 주 49.5%였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7월에는 사전 예약자들이 많아 한국인 여행자 감소율이 한 자릿수를 기록했지만, 일본 불매 운동이 지속될 경우 8월 감소 폭은 두 자릿수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일본 최대 여행사인 JTB에 따르면, 한국인 관광객 신규 예약은 전년 동기 대비 8월 70%, 9월 80% 각각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우리나라를 찾은 일본인 관광객은 큰 폭으로 늘어났다. 22일 발표한 한국관광공사가 발표한 한국관광통계에 따르면 7월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은 총 144만806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4%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중국 51만9132명, 일본 27만4830명, 대만 11만3587명, 미국 9만7428명, 홍콩 5만9036명 등 순이었다. 중국은 여름방학 및 휴가철을 맞아 가족과 학생들의 단체 방문이 증가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한국 방문 관광객이 26.5% 늘었다. 특히, 일본은 정치 이슈에 민감하지 않은 층을 중심으로 개별 여행객이 늘어남에 따라 19.2% 증가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