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배훈식 기자 =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한 방안 마련을 위한 출장을 마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12일 오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을 통해 입국하고 있다. 2019.07.12. dahora83@newsis.com /사진=뉴시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중심으로 일사분란하게 추진됐던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에 대한 삼성전자의 대응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대법원의 2심 파기환송 결정으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다시 재판을 받게 돼 경영에 집중하기 어렵게 됐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는 벌써 이 부회장이 오는 10월 삼성전자 등기이사 재선임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삼성 관계자는 29일 대법원의 결정이 알려지자 "(이 부회장의) 구속이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판결을 볼때 삼성 입장에선 워스트(최악) 시나리오가 나온 것"이라면서 "(일본 무역 보복 등) 위기 상황이 반복되면서 지난 6월부터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에 이어가고 있는데 향후 어떻게 진행될지 불확실성이 크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부회장은 일본 정부가 경제 보복을 단행한 직후 그동안 핵심 사업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경영 전반을 진두지휘해왔다. 지난달 4일 일본이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포토 레지스트, 고순도 불화수소 등의 수출을 규제하자 이 부회장은 사흘 뒤 일본 현지를 찾아 긴급 물량 확보에 주력했다. 이 부회장은 귀국 직후엔 반도체·디스플레이 사장단을 소집해 수출 규제 확대에 대비한 컨틴전시 플랜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모든 대처를 이 부회장이 총괄 진행해온 셈이다.
덕분에 삼성전자는 지난 2달 간 일본산 핵심 소재 관련해선 해외 공장을 통한 우회 수입, 대체 수입처 발굴, 국산화 지원 등 기민한 대응을 할 수 있었다. 실제 생산 공장 가동중단 등 업계 우려에도 삼성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일본이 지난 28일 한국을 화이트리스트(백색국가) 제외하는 등 양국 간 갈등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지만, 이 부회장이 구속될 수 있는 등 손발이 묶이는 상황에 직면했다는 점이다. 업계 안팎에선 최악의 경우 삼성 측 컨트롤타워가 무너지면서 무역 보복에 대한 대응 전반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화이트리스트 배제 이후 핵심 소재 3종뿐 아니라 섀도마스크, 블랭크마스크, 실리콘 웨이퍼 등과 관련 장비들이 줄줄이 수출 규제에 포함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업황 악화가 지속되고, 미국과 중국의 견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경영공백으로 삼성의 발빠른 판단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이 부회장은 최근 엄중한 위기 상황이라는 판단 하에 이달 들어서 모두 4차례 현장 경영을 실시했다. 지난 26일 찾은 삼성디스플레이 충남 아산 공장에선 중국 업체의 추격에 맞서 신기술 개발을 언급하며 대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투자를 시사했다. 하지만 이 부회장이 구속된다면 이 같은 전략적 결정은 앞으로 이뤄지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재계 관계자는 "삼성이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처 방안을 마련해놓고 있을 것"이라면서도 "총수가 자리를 비우게 된다면 의사결정이 느려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등 내부 혼란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삼성으로선 이부분이 위기일 것"이라고 말했다.
integrity@fnnews.com 김규태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