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은성수 "DLF는 중수익·고위험 상품…'쪼개팔기' 의혹 점검"(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기존 고정금리 대출자 안심대출 배제 문제 인지"

"아시아나 '통매각'이 맞아"…"일본계 금융사 철수 동향 없다"

연합뉴스

의원질의에 답변하는 은성수 후보자
(서울=연합뉴스) 하사헌 기자 = 은성수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toadboy@yna.co.kr



(서울=연합뉴스) 박용주 성서호 한혜원 기자 = 은성수 금융위원장 후보자가 최근 원금 손실 가능성으로 물의를 빚은 파생결합펀드(DLF)·파생결합증권(DLS) 상품을 '중수익 고위험' 상품으로 규정하고 '쪼개팔기 의혹' 등을 검증하기로 했다.

내달 출시되는 연 1%대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에 기존 고정금리 대출자가 배제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인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금융위원장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의원이 DLF·DLS 상품에 사기성이 있다고 하자 은성수 후보자는 "상품을 보면 고위험·중수익 같아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상품의 기대 수익이 크지 않지만 손실 가능성은 크다는 것으로 상품 구조에 문제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우리은행의 독일 금리 연동 DLF 상품을 두고 제 의원이 공모 형태를 취하지 않고 49인 이하의 투자자를 모집해 19개의 상품으로 쪼개 파는 방식으로 더 느슨한 사모펀드 규제로 우회했다고 지적하자 은 후보자는 "공모해야할 상품을 사모 형식으로 발행했다는 것으로 이해한다"면서 "살펴보겠다"고 답변했다.

대안정치 장병완 의원이 기존 고정금리 대출자들이 이번 서민형 안심전환대출을 받을 수 없다는 점을 지적하자 은 후보자는 "금융위는 좋은 취지로 (상품을 출시)했지만 결과적으로 억울한 느낌이 있을 것"이라면서 "충분히 문제가 뭔지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은 후보자는 "이번에 20조원 규모로 했는데 재원이 많으면 하겠는데, 이 상태에서 여유 있으면 갈 수도 있고, 그런데 미리 희망을 줄 수는 없다"고 했다.

이런 발언은 재원 여유가 있을 경우 기존 고정금리 대출자에게도 서민형 안심전환대출로 갈아탈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100% 배제하지는 않는 것으로 해석됐다.

금융위원회는 서민형 안심전환대출 출시 계획을 발표하면서 대상을 변동금리와 준고정금리로 제한했다.

금융위는 이에 대해 "이 상품은 주택담보대출 구조개선을 위하여 비(非)고정금리 대출의 고정금리 대출 전환을 지원하는 것"이라면서 기존 고정금리 대출자는 현 시장금리 수준을 반영한 정책모기지로 갈아탈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현재 가계부채에 대한 판단을 묻자 은 후보자는 "(전년 대비) 증가율이 두 자릿수에서 한자리로 줄어들기는 했지만 절대 규모가 크기 때문에 앞으로 줄여가는 것이 맞다"면서 "다만 한 번에 줄일 수 없으니 서서히 줄여가겠다"고 설명했다.

한국과 일본 간 갈등 상황에서 일본계 은행이 국내에 대출해준 돈을 회수할 가능성에 대해선 "수출입은행장 재직 때 일본계가 빠져나가면 우리가(수출입은행이) 들어가려고 생각했는데 저쪽(일본)에서 곁눈질(자금회수)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면서 "(일본계가 빠진다면) 수출입은행이 충분히 들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일본계 저축은행과 대부업체의 철수 가능성에 대해선 "우리 금융사들이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 어렵다고 (일부 국가에서) 철수했다가 아직도 해당 국가에 다시 진출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금융사들이 이런 상황이 된다고 해서 함부로 이사하듯 움직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은 후보자는 한국금융의 문제점을 묻는 더불어민주당 최운열 의원의 질의에는 "기본적으로 과감하게 치고 나가지 못한 게 있고 보수적이고 안정 위주로 해서 그렇다"면서 "과거에는 금융이 지원 기능 위주였는데 금융산업 자체로 발전하고 금융산업이 다른 산업을 이끌고 나가도록 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아시아나항공 매각과 관련해선 은 후보자는 "'통매각'이 맞다"고 답변했다.

통매각은 에어서울, 에어부산, 아시아나IDT 등 6개 자회사까지 함께 매각하는 방식이다.

예금자보호한도를 현행 5천만원에서 1억원으로 상향조정해야 한다는 일부 의원의 지적에 대해선 "취임하면 고민해보겠다"고 말했다.

spee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