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 성분 분석은 측정장소에 설치된 샘플링 장비를 통해 24시간 동안 여지에 시료를 채취한 뒤 초미세먼지 성분 농도를 측정해 구성 성분 비율 등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이 초미세먼지를 상시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마련한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대기질 관련 정책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한 PM2.5 초미세먼지 상시 성분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고 9일 밝혔다.
기존엔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대기질통합분석센터가 고농도 미세먼지·황사가 찾아오거나 월 단위로 초미세먼지를 모니터링해왔다. 앞으로는 6일마다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
측정 항목도 초미세먼지 질량농도와 31개 화학성분을 포함해 총 32개로 강화한다. 세부적으로는 염화이온·질산이온 등 8개의 이온 성분, 마그네슘·알루미늄 등 20개의 금속성분, 2개의 탄소 성분과 생물성 연소 성분을 측정한다. 내년부터는 대기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 항목 16가지를 추가할 예정이다. 기존에는 경우에 따라 측정 항목 수가 달랐다. 예를 들어 황사의 경우에는 기존에는 12개 항목을 측정했다.
초미세먼지 성분 분석은 측정장소에 설치된 샘플링 장비를 통해 24시간 여지(거름종이)에 시료를 채취한 뒤 초미세먼지 성분 농도를 측정해 구성 성분 비율 등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시료는 서울시 광진구 구의 아리수정수장 측정소에서 채취한다. 보건환경연구원 실험실에서 분석한다.
초미세먼지 성분 분석은 측정장소에 설치된 샘플링 장비를 통해 24시간 동안 여지에 시료를 채취한 뒤 초미세먼지 성분 농도를 측정해 구성 성분 비율 등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진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성분 분석 자료는 미세먼지 배출원 확인, 기여도 추정, 건강 영향 등을 평가하는 데 활용된다. 이를 통해 서울 대기 질의 장기적 추세를 파악한다. 보건환경연구원 기후대기팀 관계자는 “미세먼지에 포함된 성분마다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데 어떤 성분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한 게 별로 없다”며 “성분을 꾸준히 분석해 미세먼지 저감 정책에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경기, 인천, 충남, 충북, 전북, 강원 등 6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수도권 대기질 개선을 위한 공동연구 협의체’에 참여한다. 협의체는 지난 2월 구성됐다. 참여 단체들은 매월 둘째 주 같은 시간에 초미세먼지 시료를 채취해 성분을 분석하고 정보를 공유한다.
서울연구원의 2016년 연구에 따르면 서울 지역 초미세먼지의 23%는 경기 등 서울 외 지역에서 유입됐다.
서울시는 협의체를 통해 서울의 대기 질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별 배출원 특성을 분석해 대기 질 개선에 활용할 계획이다.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상시 성분분석 시스템을 통해 초미세먼지 농도뿐만 아니라 구성 성분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박해리 기자 park.haelee@joongang.co.kr
▶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