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정적 단서 없어 15년간 미해결…경찰, 피해자 소지품 DNA 재감식 검토
'포천 여중생 살인사건' 용의자(?) |
(의정부=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유력 용의자 특정 소식이 알려지자 15년간 풀리지 않고 있는 '포천 여중생 매니큐어 살인사건'이 재조명되고 있다.
이 사건은 범행 수법이 유사하다는 점 때문에 화성연쇄살인사건을 미디어에서 주목할 때마다 함께 소환되곤 했다.
19일 경기북부지방경찰청 미제사건전담수사팀에 따르면 '포천 여중생 살인사건'은 2004년 2월 8일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의 한 배수로에서 실종 3개월여 만에 엄모(당시 15세)양이 얼굴에서 가슴까지 훼손돼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운 상태로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이다.
엄양의 손톱과 발톱에 붉은색 매니큐어가 칠해진 것이 특징으로, '포천 매니큐어 살인사건'으로도 불렸다.
경찰은 1년간 대대적인 수사를 벌였으나 현장 주변의 폐쇄회로(CC)TV는 물론, DNA 등 중요 증거를 확보하지 못한 채 미제 사건이 됐다.
15년간 미제로 남아있던 이 사건은 올해 초 새로운 제보자가 등장하면서 수사의 실마리가 풀릴 것으로 기대됐으나, 현재까지 결정적인 단서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포천 여중생 살인사건 발생 당시 대학생이던 한 여성이 지난 3월 112에 직접 신고를 해 자신이 유사한 피해를 볼 뻔했었다며 기억을 털어놓았고, 이를 토대로 몽타주도 제작됐다.
몽타주가 방송 프로그램을 통해 공개되자 지난 4월부터 현재까지 경기북부경찰청 미제사건전담수사팀에는 총 90여건의 목격담 제보가 접수됐다.
정 팀장은 이어 "화성연쇄살인사건의 용의자 특정이 DNA 재감식을 통해 이뤄진 만큼 이 사건도 피해자의 유류품에 대한 DNA 재감식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수사 초기 알몸으로 숨진 채 발견된 엄양의 소지품인 가방, 신발, 휴대전화에서 용의자의 DNA가 검출되지 않았으나, 다시 감식을 의뢰해 본다는 것이다.
여중생이 잔혹하게 살해돼 시신으로 버려져 세간에 큰 충격을 준 만큼 사건이 반드시 해결되기를 바라는 기대감도 높다.
한편, 살인사건의 공소시효를 폐지한 이른바 '태완이법' 시행으로 경기북부경찰청에서 수사 중인 미제사건은 '포천 여중생 살인사건'을 포함해 총 14건이다.
suki@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