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5 (수)

이슈 5세대 이동통신

[단독]①5G 초기품질 이상, 과기정통부가 수치로 확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과기정통부 속도 측정 결과 5G 초기 화웨이 성능 높아

8월 말 이후는 화웨이-삼성 성능 차이 없어져

필드 테스트 부족했던 세계 최초의 그늘..5G 품질 향상에 더 매진해야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4월3일 오후 11시, 대한민국이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했지만 5G 초기 품질이 엉망이라는 소비자 불만이 컸다. 그런데 이데일리 확인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도 5G 상용화 초기에는 국산 장비와 국산 칩을 장착한 단말기의 5G 품질 안전성이 외산 장비와 외산 칩 장착 단말기보다 떨어졌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과 중국의 공룡 IT기업들과의 글로벌 기술 전쟁 속에서 우리나라는 삼성의 앞선 기술력으로 칩부터 단말기, 장비까지 ‘세계 최초 5G 상용화’라는 쾌거를 이뤘지만, 한편으론 ‘세계 최초’라는 명분에 매달려 충분한 필드 테스트 기간을 주지 않은 탓에 국내 소비자들의 불편을 초래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당시 갤럭시S10 5G를 샀는데 5G 신호가 잘 잡히지 않거나 5G에서 LTE로 전환될 때(핸드오버 될 때) 데이터 전송이 먹통 된다는 소비자 불만이 잇따랐기 때문이다.

국산 장비와 국산 단말기는 이후 지속적인 소프트웨어(SW) 업그레이드를 통해 외산 제품과 성능 격차를 줄여 8월 말부터는 성능상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데일리

통신3사 5G로고


과기정통부 속도 측정 결과 5G 초기 화웨이 성능 높아

25일 이데일리가 입수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시기별 삼성·화웨이 기지국 장비 성능 비교’ 자료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G 상용화 초기인 4월~5월, 그리고 8월 말 5G 신호 양호지역에서 5G 속도를 측정했다.

이에 따르면 4월~5월에는 △LG유플러스의 화웨이 기지국 장비와 퀄컴 5G 모뎀과 AP 스냅드래곤 855 칩을 탑재한 LG V50씽큐 단말기에서 속도(약 1000Mbps)가 가장 빨랐고 뒤이어 △화웨이 기지국 장비를 쓴 LG유플러스의 삼성 갤럭시 S10 5G 단말기(약 900Mbps)△삼성 기지국 장비를 쓴 SK텔레콤·KT(약 700~800Mbps)순이었다. SK텔레콤과 KT는 갤럭시 S10 5G와 LG V50씽큐 구분 없이 속도가 700~800Mbps였다.

이데일리

[이데일리 김다은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월 말 이후는 화웨이-삼성 성능 차이 없어져

이처럼 국내에 많이 깔려 있는 삼성 기지국 장비와 5G 단말기에서 제 속도가 나오지 않자, 과기정통부와 제조사·통신사 등은 4월 10일 긴급 대책회의 이후 ‘품질 안정화 TF’까지 만들어 삼성 기지국과 단말에 대한 SW 업그레이드를 진행했다.

그리고 8월 말 이후 현재까지는 △화웨이를 쓰는 LG유플러스와 삼성을 쓰는 SK텔레콤·KT 모두 5G 신호 양호 지역에서 단말기에 관계없이 약 1000Mbps 속도를 내는 것으로 확인됐다. 초기 품질 논란이 제기된 지 3개월 만에 삼성과 국내 이통사들이 5G 품질 안정화를 이루는 데 성공한 것이다.

이데일리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필드테스트 부족했던 세계 최초의 그늘..5G 품질 향상에 더 매진해야

통신사 관계자는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을 위해 예상보다 8개월 이상 빨리 5G를 상용화하는 바람에 필드 테스트가 부족한 채로 상용화에 나서 초기 품질 불안 현상이 있었지만 지금은 완전히 해결됐다”고 말했다.

변재일 의원(더불어민주당)은 “5G 전후방 산업의 주도권을 갖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국내 기업들이 칩부터 단말, 장비까지 개발한 것은 쾌거이나 국내 기업들이 품질 경쟁에서도 앞설 수 있도록 더욱 매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변 의원은 “정부는 국내 기업들이 5G 전후방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여 세계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핵심 기술 개발, 표준필수특허 보유, 국내 레퍼런스 확보를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