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4 (토)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2달 연속 마이너스 기록한 소비자물가 상승률...물가는 언제 오를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금융신문 장태민 기자]
한국금융신문

자료=통계청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8월 소비자물가가 전년동월비 0.04% 하락하면서 통계작성 이후 첫 마이너스를 보인 뒤 9월엔 0.4% 떨어져 하락폭을 키웠다.

통계청이 물가상승률을 소수점 첫째자리까지 표기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8월 보합 이후 9월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나타냈다고 볼 수도 있다.

아무튼 1965년 소비자물가 통계를 작성한 뒤 지난 8월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9월엔 물가 하락폭이 확대된 것이다.

■ 정부·한은, 물가 하락 공급측면 강조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 '마이너스'는 기저효과를 감안할 때 예견돼 왔다.

이주열 한은 총재가 지난주 9월 물가 하락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지난해와 농산물, 유가 수준 등을 감안할 때 최근 물가상승률은 크게 둔화돌 수밖에 없긴 했다.

힌은은 최근 물가상승률 하락에 대해 "국제유가가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을 지속하는 가운데 작년 여름 폭염에 따른 기저효과로 농축수산물가격 하락폭이 크게 확대되고 9월부터 고교 무상교육이 시행된 데 주로 기인한다"고 밝혔다.

한은의 분석을 보면 작년 8~9월중 농축수산물가격이 7월에 비해 15.5% 상승해 예년평균(2009~2018년 6.8%)을 크게 상회한 데 따른 기저효과가 올해 8월 및 9월중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 9월부터 시행된 고교 3학년 대상 무상교육은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0.2%p 낮추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통계청도 농축수산물 기저효과와 함께 9월 무상교육 확대,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 등 정부정책(고교납입금 -36.2%, 학교급식비 –57.8%, 병원검사료 –10.3%, 보육시설이용료 –4.3%)이 물가를 추가적으로 하락시킨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통계청의 품목별 기여도 분석을 보면 개인서비스(0.48%p), 석유류외공업제품(0.18%p), 전기‧수도‧가스(0.05%p)가 상승요인, 농축수산물(-0.70%p), 석유류(-0.26%p), 공공서비스(-0.17%p), 집세(-0.02%p)가 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

■ 정부와 한은, 디플레 기대 차단 위해 같이 노력

한국은행은 디플레이션의 정의를 언급하면서 최근의 저물가를 디플레이션 전조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디플레이션으로 보기 위해선 물가 하락이 장기간 이어져야 하는 데다 하락 품목이 확산돼야 한다는 점 등을 거론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는 과도하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정부 역시 최근 계속해서 디플레이션 우려 차단에 나서고 있다.

김용범 기재부 차관은 이날 거시경제금융회의 이후 "일각에서 디플레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고 있으나 물가수준이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광범위하게 하락하는 디플레이션 상황은 아닌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김 차관은 "9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마이너스를 보인 것은 작년 물가가 8월에 1.4%에서 9월에 2.1%로 높게 상승했던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면서 일시적으로 나타난 측면이 강하다"고 말했다.

역사적으로 디플레이션을 경험한 미국 대공황과 일본의 과거 사례를 보면 물가수준의 하락이 3~7년 장기간 지속됐다.

하지만 우리의 경우에는 공급측 충격에 의한 2~3개월 단기간에 걸친 물가하락이 예상된다는 점에서 디플레이션을 언급할 정도는 아니라는 것이다.

기술발전이나 유통혁신, 글로벌화 등으로 전세계적으로 물가상승률이 둔화되는 현상이 구조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점 등도 감안해야 한다고 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주 금요일 "일본 같은 경우에는 옛날에 디플레이션이 심할 때는 60∼70%까지, 전체 조사대상 품목의 3분의 2가 마이너스로 간 적이 있는데, 우리나라는 아직까지도 아마 30% 미만"이라고 했다.

또 정부정책 효과와 농축수산물, 석유가격 같은 공급 충격 영향을 제거하면 물가상승률이 1%대 초반대로 디플레와는 거리가 있다는 했다

아무튼 수요, 공급 측면의 물가 상승압력이 크지 않은 가운데 구조적 요인과 정부 복지 정책 등이 물가 상승세를 제어하고 있는 상황이다.

■ 물가는 언제, 얼마나 상승할 수 있을까

지난주 금요일 이주열 총재는 "몇 개월 후 기저효과 해소를 감안할 때 연말이나 내년 초에 물가상승률이 1% 내외로 올라설 것"이라고 밝혔다.

1일 소비자물가가 발표된 뒤 한은은 "농축수산물 및 석유류 등 공급측 기저효과는 8~10월 중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다가 11월 이후부터 점차 사라질 것"이라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내년 이후 1%대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통계청과 기재부는 연말 0%대 중반이나 후반 물가 수준을 예상하고 있다.

통계청은 "9월 소비자물가가 최초의 마이너스 상승률을 나타냈으나 이는 고교 무상정책요인(-0.17%p) 및 농산물의 기저효과 확대(-0.16%p) 등 정책적·일시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면서 "기저효과가 완화되는 연말부터는 0%대 중후반 수준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기재부도 "최근 저물가 흐름은 공급측 요인과 정책요인에 의해 나타난 일시적 현상으로, 기저효과 등 특이요인이 완화되는 연말에는 물가상승률이 0% 중반으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최근 물가 상승률이 크게 둔화되거나 하락하기 전까지 물가가 '안정'돼 있다는 점을 거론해 왔다. 그러다 최근 일각에서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거론하자 이런 기대를 의식적으로 차단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물가 상승률 하락은 이달 한은의 금리인하에 더 무게를 실어준다. 다만 10월 금리인하는 금융시장 다수가 이미 예상하는 바다.

이런 가운데 금융시장에선 기저효과가 해소되더라도 물가 상승률이 크게 확대되기는 어렵다는 인식들도 적지 않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기저효과가 작용했지만 9월 소비자물가 결과는 10월 한은의 금리 인하 명분을 강화시켰다"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 1%대는 당분간 보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10월 금리인하 이후 원화 약세로 물가 상승압력이 있겠지만, 시차를 감안하면 1%대 물가상승률은 2020년 하반기 이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사의 한 채권딜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 결과치는 계속해서 한은의 전망을 밑돌고 있다"면서 "최근 한은의 물가전망엔 상향편의가 심했다"고 말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