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與, '험지 출마' 인재영입...靑 출신 ‘압박 카드’ 전면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김하늬 기자] [the300]민주당 일부 의원들 '문재인 정부 청와대' 이력표기까지 반대

머니투데이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총선기획단장이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열린 더불어민주당 입당 기자회견에서 김용진 전 기획재정부 제2차관, 김학민 전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부총장, 황인성 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장을 소개하고 있다. / 사진=홍봉진 기자 honggga@


문재인 정부 1·2기 참모진이 내년 총선에 대거 출사표를 던진다. 당 내부 셈법으로 40명이 넘는다. 일각에선 70명까지 가능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여권 내에서 선거를 앞두고 자칫 '친문'(친 문재인) 프레임을 먼저 조심해야 한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은 최근 당 소속 의원들과 만나는 자리에서 "청와대나 대통령을 팔아 덕 보려는 생각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당은 선거관리위원회가 세워지면 '청와대 이력 표기'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원칙이라고 되풀이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청와대 출신 인사들의 출마 소식이 잦아들면서 수면 위로 떠오른 상태다.

당내 경선에 쓰일 여론조사에서 청와대 경력 인사들이 '문재인 정부'라는 표현을 쓸 수 있도록 하느냐 여부까지 쟁점화 하고 있다.

의견은 엇갈린다. 대통령 이름까지 예비후보 명함에 넣는다는 건 과도하다는 주장이 있다. 반면 청와대를 경험한 정치인들은 과거 '국민의 정부'나 '참여정부' 처럼 별도의 명칭이 없었던 만큼 '문재인 정부 청와대'를 하나의 콘텐츠로 인정해줄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청와대에서 근무하는 동안 현직 의원은 지역구 활동을 꾸준히 해왔을뿐만 아니라 현재 경선 룰도 현직 의원에 유리하다"며 "청와대 경력까지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건 과도하다"고 말한다.

현재 문재인정부 청와대 1기 참모진 중 일찌감치 총선 준비에 나선 인물은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 한병도 전 정무수석,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 진성준 전 정무기획비서관, 박수현 전 대변인 등이다. 2기 참모진 가운데는 정태호 전 일자리수석, 이용선 전 시민사회수석 등이 출마를 준비하고 있다. 김우영·김영배·민형배·복기왕 전 비서관 일동은 합동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다.

특히 전날일 13일 민주당에 새롭게 입당하면서 험지 출마를 선언한 김용진 전 기획재정부 제2차관, 김학민 전 순천향대 산학협력부총장, 황인성 전 청와대 시민사회수석 사례로 청와대 출신의 험지 도전 목소리가 힘을 받을 전망이다. 이들은 한 번도 '깃발'을 꽂아본 적 없는 경기 이천, 충남 홍성·예산, 경남 사천·남해·하동 등에 도전장을 낸다.

최근 청와대 인사들의 출마 소식이 이어지면서 양정철 민주연구원장은 민주당 의원들에게 "청와대 출신 출마자가 너무 많아 당내 불만과 갈등 요소가 될 수 있다”며 “이들이 험지에 출마해 당에 헌신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김하늬 기자 honey@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