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세종 인사이드] 상무관까지 뺏길라…애타는 산업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들이 외교부를 들락거리는 일이 잦아지고 있다. 상무관으로 불리는 '산업통상자원관'의 명칭을 '산업통상중기벤처관'으로 바꾸기 위해서다. 외교부 직제를 변경해야 하기에 한창 물밑작업을 벌이고 있다는 후문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칵 뒤집힌 건 당연지사. 중기부가 아직 공식적으로 요청한 단계는 아니어서 정면 대응도 못하고 속앓이만 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명칭을 바꾼 뒤 결국 산업부 자리를 가져가겠다는 것 아니겠냐"며 우려했다.

현재 30여 개국에 50여 명의 상무관이 파견돼 있다. 기획재정부와 금융위원회는 재정경제금융관, 국토교통부는 국토관, 농림축산식품부는 농무관 등을 해외 주재관으로 파견하고 있지만 가장 많은 국가에 가장 많은 인원이 파견되는 게 바로 상무관이다. 이들 중 90% 이상이 산업부 출신이다. 통상 과장급 자리지만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국에는 고위공무원단인 국장급도 파견된다. 최소 3년간 해외 경력을 쌓을 수 있어 산업부 공무원들에게는 '꽃보직'으로 통한다.

실세 정치인인 박영선 장관 부임 이후 막강해진 중기부에 산업부는 '을'로 전락한 지 오래다. 지난 9월에는 산업부 핵심 산하기관인 KOTRA 관할권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국회 개정안 통과로 공사 설립 목적에 '중소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이 신설됐다. KOTRA 이사회에 산업부 외에도 중기부도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당초 법안에는 KOTRA 업무를 아예 중기부와 분담하고 감독권도 공동으로 갖는 내용까지 포함돼 있었다.

스마트공장을 둘러싼 영역다툼은 최근 중기부의 완승으로 끝났다. 산업부와 중기부는 물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까지 관여하던 스마트공장 사업이 중기부로 일원화된 것이다. 그동안 스마트공장은 중기부가 주로 보급 업무를, 산업부는 연구개발(R&D) 업무를 맡아왔다. 이처럼 실세 정치인을 등에 업은 중기부에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 보니 최근 산업부에서도 '정치인 장관'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동안 기재부, 산업부, 교수, 정치인 출신이 번갈아 장관으로 왔다"고 전했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