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北김정은, 2년만에 전투비행술대회…한미공중훈련 '맞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미관계 좋았던 작년엔 보도 없어…"불패 위력 남김없이 과시"
'지도' 아닌 '참관'…美 압박하면서도 수위 조절 흔적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작년 미국과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 건너뛴 전투비행술경기대회를 2년 만에 참관했습니다.

이달 예정된 한미 연합공중훈련에 북한 역시 공군력 과시로 맞서는 모양새인데, 비핵화 협상 시한인 연말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에어쇼라는 저강도 군 행보로 미국의 태도 변화를 압박하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한 관영매체들은 오늘(16일) "'조선인민군 항공 및 반항공군 비행지휘성원들의 전투비행술경기대회-2019'가 원산갈마비행장에서 진행되었다"며 김정은 위원장이 참관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전투비행술경기대회는 북한 공군의 다양한 항공기들이 실전 같은 비행 기술을 선보이는 일종의 에어쇼로 2014년 김 위원장의 지시로 처음 시작된 이후 매년 진행됐으며, 김 위원장도 2017년까지 참석했습니다.

그러나 북미 비핵화 협상이 한창 진행되면서 미국 및 한국과 관계가 좋았던 작년에는 아예 행사 보도 자체가 없었습니다.

이번 경기대회는 "모든 비행기에 최대무장을 적재하고 비행지휘성원들의 편대지휘로 목표물에 대한 폭격 비행과 사격 비행을 하는 방법"으로 진행됐으며 "비행지휘성원들과 전투비행사들은 평시에 연마해온 비행술을 과시하며 김정은 비행대의 불패 위력을 남김없이 과시하였다"고 통신은 전했습니다.

특히 김정은 위원장의 전용기로 알려진 '참매-1호'가 전투기들의 엄호를 받으며 비행장 상공을 통과했습니다.

김 위원장은 "적들의 항공무력을 견제하기 위한 우리 식 항공무장개발과 관련한 방향"과 "주체적 항공무력을 강화·발전시키는 데서 나서는 강령적 과업들"을 제시했다고 통신은 밝혔습니다.

김 위원장의 군 관련 행보는 지난 9월 10일 초대형 방사포 2차 시험사격 이후 66일(보도일 기준) 만입니다.

그는 지난 10월 2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10월 31일 초대형 방사포 3차 시험사격 때는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수위를 조절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그런 그가 다시 군과 함께 등장한 배경은 북한이 거세게 비난해온 한미 연합공중훈련과 무관하지 않아 보입니다.

이번 경기대회 참관은 한미 훈련에 따른 북한 내부의 안보 불안감을 잠재우면서 동시에 미국을 압박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그럼에도 미국 국방부 장관이 북한의 반발을 고려해 공중훈련을 축소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조만간 실무협상이 재개될 수 있는 상황에서 가능한 미국을 덜 자극하려고 신경 쓴 부분이 눈에 띕니다.

북한 매체들은 앞서 2014∼2017년 대회 때는 김 위원장이 경기대회를 '지도'했다고 보도했으나, 이번에는 더 수동적인 표현인 '참관'이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