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31 (금)

이슈 은행권 DLS·DLF 사태

하나銀, DLF 배상위 첫 가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김민영 기자] KEB하나은행이 15일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배상위원회를 개최하고 자율조정 배상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날 하나은행에 따르면 전날 금융감독원은 각 은행 앞으로 DLF 불완전판매에 대한 손해배상기준(안)을 보냈고, 하나은행은 신속하고 공정한 배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이날 개최한 DLF 배상위원회 첫 회의에서는 금감원 분쟁조정위원회의 손해배상기준(안)에 따라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투자 손님에 따라 40%, 55%, 65% 등의 배상률을 심의·의결했다. 결의된 내용은 영업점 등 이해관계자에게 통지해 손님과 합의를 통해 즉시 배상키로 했다.


DLF 배상위원회에 참석한 배상위원들은 “하나은행의 신속하고 투명한 배상절차가 신뢰 회복으로 이어져 금융소비자 보호의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공정하고 합리적인 배상을 통해 신뢰받고 건강한 금융시장이 조성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의 DLF 배상위원회는 법조계, 금융관련 학회, 시민단체 등의 추천을 받아 위촉된 6명의 외부 전문위원들로 구성됐다. 투명하고 공정한 자율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체계를 구축했다는 게 이 은행의 평가다.


앞서 하나은행은 이를 바탕으로 400여건의 자율조정 배상 대상 건수에 대해서 판매사실 관계를 파악하는 등 자율조사를 실시함으로써 신속한 배상을 준비해 왔다.


하나은행 금융소비자보호부 관계자는 "DLF 배상위원회를 통해 투자 손님 및 이해관계자 등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자율조정 배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손님과 시장에서의 신뢰 회복 및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김민영 기자 my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